d라이브러리
"환경"(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원리로 만들어지거든요. 자연과 친해지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 것도 중요해요. 그래야 환경을 깨끗하게 지키는 일을 하는 데 목표를 갖고 열심히 할 수 있거든요.물 아끼기, 나부터 시작해요!지구에서 우리가 마시고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약 0.01% 정도예요. 지난 2003년 우리나라는 물부족 국가로 ... ...
- 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추가 조사 결과 CoRot -7b는 암석이 녹아 비가 될 정도로 극한 환경이었다. 기온이 금성보다도 5배 높은 2200°C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뚤어진 행성, XO-3b대부분의 외계행성들은 타원 궤도로 돌지만 공전 궤도면만큼은 모항성의 적도면과 일치한다. 레코드판처럼 원반 ...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의류는 미세조류와 균류가 공생하는 독특한 생명체인데, 북극이나 남극같이 척박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는 몇 안되는 생물 중 하나다. 자라는 속도는 매우 느리고 공해에도 취약하지만, 생명 진화 역사의 비밀을 담고 있어 극지 연구에서는 빠질 수 없는 존재다.일행은 이웃한 다른 나라의 기지도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AES알고리듬을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과학동아 6월호 참고). 사물인터넷 환경, 저전력 암호 알고리듬 필요해이런 이유로 사물인터넷 기기에 적합한 저전력(초경량) 암호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주로 언급되는 암호 알고리듬은 ‘프린스(PRINCE)’다. 프린스는 2012년 세계적인 암호작성술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다이폴코일 공진방식은 추가적인 공진코일 없이 수 m까지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다. 즉, 환경에 덜 취약하면서도 멀리까지 전력을 보낼 수 있다. 임 교수팀은 이 방식으로 2014년 3월, 7m 떨어진 수신기에 10W의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처음 성공했고, 지금은 실제 휴대전화까지 충전하고 있다. 하지만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소수정예’를 양성하는 GIST대학엔 건축학과가 없다. 물리, 화학, 생물, 전기전산, 환경과학, 기계공학, 재료공학의 7개 트랙만 있다. 미국에서의 여름학기 수업은 학생들의 지적갈증을 해소하는 중요한 통로다. 보통 두 과목 중 하나는 양자역학, 유기화학, 생리학, 이산수학 같은 정통 이공계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따르면, 다이아몬드가 고체에서 액체로 녹는 순간의 온도와 압력 조건이 두 행성의 환경과 유사하다. 실제로 두 행성에는 다이아몬드 결정의 원료인 메탄(탄소)이 다른 행성들에 비해 월등히 많다.명왕성은 행성은 아니지만 요즘 사람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다. 지난 7월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 ...
- [과학뉴스] 장거리 주자도 뛰는 건 괴로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시간의 40%를 남은 거리와 자신의 페이스에 관해 이야기했다. 28%는 날씨와 풍경 같은 주위 환경에 대한 이야기였다.놀라운 것은 나머지 32%였다. 힘들다는 불평이 이어졌다. 바지가 엉덩이에 너무 낀다는 가벼운 불평부터, 상스러운 욕설까지 불평의 종류도 다양했다. 셔면 교수는 “기억에 의존하지 ... ...
- [과학뉴스] 이렇게 흥청망청 하다간… 2030년엔 지구 모자란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가진 자원이 점점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국의 환경연구단체 ‘지구 생태발자국 네트워크(GFN)’는 8월 13일 올해의 ‘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EOD)’이 지났다고 발표했다. EOD란 지구가 1년 동안 새롭게 만들 수 있는 자원보다 더 많은 자원을 인류가 소비한 시점, 또 그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조재원 교수가 속해있는 북한물문제연구회는 북한의 물과 정수시스템을 연구하는 단체로, 올해 3월에 결성했다. 연구회에는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2명과 한국수자원공사 직원 1명, 그리고 조 교수까지 총 5명의 회원이 있다. 현재 회원을 모집 중이며, 10월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연구에 나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