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톡토기’ 전문가에게 듣는 유전자 전쟁사
2015.04.05
업무를 분담하는 것이다. 한
쪽
뇌는 음식을 쪼기 위해 필요한 집중력을 전담하고 다른
쪽
뇌는 위험을 감지하기 위해 하늘을 살피는 데 쓰는 것이다. 이처럼 뇌의 각 반구가 특정한 유형을 인지하도록 잘 발달돼 있다면 새의 생존 확률은 높아질 것이다. 이는 우리 뇌가 집중모드와 분산모드 사이를 ... ...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센서는 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을 인식해서 남
쪽
이면 왼
쪽
전극이, 북
쪽
이면 오른
쪽
전극이 실시간으로 뇌의 시각피질에 전기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 작동한다. - 이케아야 유지 교수 제공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챔버’에 들어가서 금속 막을 입고 거울로 변신해요. 진공 챔버는 공기를 모두 제거해 안
쪽
을 진공 상태로 만든 큰 통을 말해요. 연구동의 우주용 반사경 옆에는 마치 전등을 엎어놓은 것 같은 작은 거울이 놓여 있었어요. 얼마 전에 완성된 GMT의 부경이지요. 바로 첫 페이지의 이용현, 한주희 기자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5.03.31
인생을 추적해 기록하는 일도 어려운데 수백만 명의 인생 데이터를 축적했다고요? 100
쪽
짜리 책에 10명씩 기록했다고 해도 수십만 권이네요. 컴퓨터도 없던 시절에 이런 일을 했다면 우리 조상님들은 정말 위대한 겁니다. 실제로 데이터를 모았다고 해도 의문점은 남습니다. 같은 날 같은 시각에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배치한 샐러드(왼
쪽
)가 한데 모아놓은 경우(가운데)나 개별 식재료로 나열한 경우(오른
쪽
)보다 더 맛이 좋다고 평가됐다. - Flavour 제공 실제로 풍미의 공감각적 지각에 대한 연구도 진행됐는데 결과를 보면 수긍이 간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단맛이 나는 음식을 고음과 피아노 소리에 ... ...
관절보호, 안장 높이에 달렸다
동아일보
l
2015.03.30
예방하기 위해서는 페달의 중심에 발의 가장 넓은 부분을 올려 놓아야 한다. 만일 발가락
쪽
으로 페달링을 장시간 하게 되면 주행이 끝난 뒤 발목 통증을 느낄 수 있다. 김수연 기자 sykim@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 ...
우주서 영감 얻은 예술작품이 궁금하다면
2015.03.29
이 군은 이후에도 종종 소식을 전해왔다. 이 군은 이번 콘테스트에 제출한 152
쪽
짜리 논문집을 e메일로 보냈다. 논문 속에는 서툴지만 재미있게 생긴 개념도가 여러 개 들어 있었다. 표지 역시 이 군이 속한 학술단체 학생들이 손으로 그린 ‘우주 도시’였다. 도넛 모양의 도시는 어린 시절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강수량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내놓고 있다. 이와 동시에 건조한 아열대 지역이 점점 극지
쪽
으로 확장된다고 예측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물 폭탄을 내리기도 한다. 기후 변화 모델들은 기온이 올라가면, 단기간에 비가 많이 내리는 호우 현상이 전 지구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또 태풍, ... ...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음-’ 소리를 낸 후 대답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거짓말의 진짜 단서다. 2. 상단 구석
쪽
을 응시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이를 거짓말의 증거로 여긴다. 3. 물건을 만지작거리지 않는다. 가책을 느끼면 불안해한다고 믿는 사람이 많다. 4. 경직돼서도 안 된다. 마음이 불편하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 ...
[미래를 듣는다 2] “우리 몸의 세포처럼 응집력 높여야”
2015.03.24
있을까요. “‘유전자’만 ‘재산’으로 바꾸면 사회과학의 연구 주제가 됩니다. 한
쪽
이 재산을 불공평하게 모아 다른 사람의 재산권이 침해 받으면 사회는 응집력을 잃고 무너지게 되는 것이죠. 이기적인 행태를 누르고 공정성을 높이는 것이 응집력을 높이는 단 하나의 길입니다. 개미와 벌,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