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물질이 붕괴하면서 생겨난 것이랍니다.헬륨은 가볍고 폭발성이 없어서 풍선이나 기구 속 기체로 사용해요. 또 끓는점이 영하 268°C로 매우 낮아서 초저온 과학 실험에 쓰여요. 때론 잠수부의 공기통에 질소를 대신해 헬륨을 사용하기도 한답니다.이렇게 쓸모가 많은 헬륨은 누가, 언제 발견했을까요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 ...
- 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경연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울리기까지 시간을 잰 뒤 말했어요.“번개가 치고 천둥소리가 울리기까지 9초, 소리의 속력인 340m/s를 곱하면 우리 위치에서 천둥이 친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어.“그렇다면…, 3060m 떨어진 곳에서 천둥이 쳤어!”오로라의 말에 파부르가 고개를 끄덕이다가 말했어요.“그런데 아무리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위해 노래를 함께 부르는 수컷도 있답니다.연구를 이끈 로버트 하이손 교수는 “음악 속에 숨겨진 각자의 박자는 암컷에게 보여 주는 자신에 대한 정보인 셈”이라며,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개체마다 갖고 있는 박자가 의미하는 정보는 무엇인지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햇빛을 모아 열을 가하자 무색의 기체가 발생했지요. 기체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기체 속에 촛불을 넣자 불꽃이 더 커졌어요. 바로 산소를 발견한 거예요.사실 산소는 스웨덴 화학자 ‘칼 빌헬름 셸레’가 2년 전에 먼저 발견했어요.그럼에도 프리스틀리가 셸레보다 먼저 논문을 발표했기 때문에 ...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 ...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그래서 도시의 열대야를 만드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국이 "후끈후끈" 폭염의 습격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 ... ...
- [헷갈린 과학] 갑옷을 입은 포유류 아르마딜로 VS 천산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공통점 때문에 헷갈리기 쉽지만, 아르마딜로는 피갑목인 반면, 천산갑은 유린목에 속해요. 실제로 이 둘을 잘 보면 등껍질이 서로 다르게 생겼답니다. 동물의 가죽처럼 생긴 아르마딜로의 등껍질과는 달리, 천산갑의 등껍질은 물고기의 비늘처럼 생겼지요.등껍질의 모양뿐만 아니라 성분도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