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방에 걸려 있는 대동여지도의 산줄기와 많이 닮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무척 흥분되는
순간
이었다. 대동여지도의 역사적 가치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치밀함과 정확성을 재발견하고 다시 한번 놀랄 따름이다.오래전부터 필자는 ‘수산자’(水山子)라는 호를 쓰고 있는데, 새 산맥지도의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는가하면 에이즈 바이러스처럼 인류를 위협하는 신종이 어느
순간
출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화론은 이들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하고 있다.에이즈 확산을 막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가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콘돔은 생식기의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르는 LHC는 페르미가속기보다 10배 가량 큰 에너지를 갖는 입자를 만들 수 있어 빅뱅의
순간
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CERN과 저희는 오랫동안 경쟁과 협력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그래야 발전이 있는게 아니겠어요?”힉스입자의 존재를 확인하면 노벨 물리학상이 확실한 연구를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도가 걸렸다. 32일 세계 기록을 깨다1시간이 지나 누군가가 “지금이야”라고 외치는
순간
풍선이 자리에서 일어나듯이 ‘휘리릭’ 올라간다. 다른 팀의 발사를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잔뜩 긴장이 돼서 캠코더를 쥔 손이 후들후들 떨렸다. ‘떨어지면 어쩌나’라는 내 생각을 기우로 돌리며,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들어간다. 시 교수는 “두 판이 미끄러지지 않고 수세기에 걸쳐 맞물려 있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수m가 어긋나며 큰 지진을 일으킨다”며 지진이 주기성을 지니며 일어나는 이유를 설명했다. 역사상의 패턴과 최근 관측결과를 종합할 때 대형 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의 발생을 예견한 시 교수는 ... ...
소녀를 사랑한 청둥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먹이도 직접 줬어요. 매일매일 산책도 같이 나갔지요. 학교에 가 있는 시간을 빼면 한
순간
도 오리짱과 떨어져 있지 않았어요. 태어나서 처음으로 동물과의 만남을 가진 채원이에게 오리짱은 애완동물 이상의 존재로 느껴졌으니까요. 오리짱도 채원이의 그런 마음을 아는지 할머니를 비롯한 다른 ... ...
얼굴인식 메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90:10, 80:20, …, 10:90으로 섞인 사진들이다. 단계적으로 변하는 사진을 보는 사람들은 어느
순간
사진의 주인공을 대처에서 먼로로 인식한다. 즉 둘의 얼굴이 섞여있음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연구자들은 이런 과정이 뇌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보기 위해 세쌍의 사진을 준비했다. 첫번째 쌍은 대처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집에 돌아와 컴퓨터를 켰다. 그가 마지막으로 “고마워, 아인슈타인”이라고 외칠
순간
이다. 날마다 쓰는 전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쓰이는 전기의 약 40%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온다. 원자력발전은 아인슈타인이 만든 공식 바로 ‘E=mc²’을 이용한 것이다.E=${mc}^{2}$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이 공식에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인슈타인은 이런 말을 의식한 듯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를 이렇게 내렸다. “정치는
순간
을 위한 것이다. 하지만 방정식은 영원을 위한 것이다.”하지만 아무리 위대한 천재일지라도 욕망을 지니고 치부를 드러내기 싫어하는 부분이 있는 법. 이 무렵 닐스 보어와 그의 제자 하이젠베르크에 대한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100억배나 더 밝고 길이가 머리카락 굵기만큼 짧은 빛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그만큼 짧은
순간
에 벌어지는 일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우리 몸안에서는 단백질과 탄수화물, DNA가 서로 엉겨 붙고 자르는 일들이 벌어진다. 이런 모습을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면 생명현상의 비밀을 풀 수 있을 뿐만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