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6,259건 검색되었습니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11
밤을 하얗게 새며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탄소나노튜브로 나노바이오센서 만든다나노
물질
의 대명사인 탄소나노튜브를 2차 트랜스듀서로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가 최근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정희태 교수팀이 그 주인공.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1㎚ 정도인 속이 빈 길쭉한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11
아래)을 삼키고 있는 신체의 면역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는 수채화다. 세포의 유전
물질
은 빨강과 오렌지색으로, 세포질은 파랑과 자주색으로, 세포막과 관련 단백질은 녹색으로, 마지막으로 혈액은 갈색과 노란색으로 표현됐다. 이 그림은 미 라호야에 위치한 스크립스 연구소 내 통합 분자 생물학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있다.DNA와 RNA같은 핵산 또한 생체분자기계를 제작하는 연구에서 빠질 수 없는 생체
물질
이다. 특히 DNA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한데 이는 RNA와 비교할 때 안정성이 높고 DNA가 이중나선 구조를 이룬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지난 2000년 8월 10일자‘네이처’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물리학과 앤드류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빛이 나도록 했다. 이 누룩세포를 바퀴벌레 등에 붙인 뒤 특정 지역에 침투시키면 유해
물질
의 존재와 위치까지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콜레라 바이러스를 맞닥뜨렸을 때 녹색으로 빛나는 누룩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벌레는 정보기술에서도 안전감시원 역을 톡톡히 해낸다. 컴퓨터에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11
장 내부 표면적은 약 4백m2다. 음식물 성분이 장내로 들어왔을 때 장 점막이 이를 이
물질
로 인식해 항체를 분비하면 염증이나 알레르기 같은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이 같은 식품 알레르기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 인구의 약 10%가 경험하고 있다.필자의 연구팀은 달걀 흰자위의 주요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소금쟁이처럼 물위를 걷는 로봇이 조만간 출현할 전망이다. 지난 9월10일 미국 카네기멜론대 나노로봇공학 연구팀 메틴 세티 교수는 “물에 떠서 ... 대당 겨우 10달러 안팎. 앞으로 이 로봇은 화학센서나 카메라 등을 싣고 다니면서 오염
물질
검출이나 정찰 업무 등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10
신고를 하지 않았겠냐”고 말했다. 원칙은 신고하는 것이지만 이 정도로 작은 양의 핵
물질
이 규정 위반인지 아닌지는 IAEA가 판단할 일이라고 덧붙였다.장 소장은 “IAEA와 외신들이 이토록 강하게 나올 줄은 몰랐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는 원전 19기를 가동하는 세계 6위의 원자력 강국이다. 이런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10
임의의 전자기장 내에 있는 힘의 작용 전체를 나타낸다 로렌츠는 이 힘을 가정함으로써
물질
의 밀도 · 분자량 · 굴절률 등 전자기적 · 광학적 성질의 설명에 성공했다 1793~1856 러시아의 수학자 유클리드의 평행선 공리와는 관계없이 기하학의 체계를 세우고(1826), 그 내용을 1829년에 발간했다 이것이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10
쉽게 올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은 많지 않다. 무엇보다 수소가 자연에서 쉽게 얻어지는
물질
이 아니라는 점이 큰 걸림돌이다. 대부분 수소는 다른 원소와 결합해 안정된 화합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현재 주목받고 있는 천연가스나 원자력을 이용하는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10
안에 이미 존재하는 단백질 조각이다.이같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개발된
물질
이 바로 ‘콤프-안지원’(COMP-Ang1). 실제로 콤프-안지원을 생쥐 눈의 각막에 투여하자 혈관성장인자나 안지오포이에틴을 투여했을 때보다 건강한 혈관이 많이 생성돼 혈액의 양이 증가했다. 생쥐의 귀와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