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정말 우회할 길은 없는지 고민하고 또 고민했습니다.”전세계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일약 세계적인 스타 과학자가 된 황우석 교수. 그는 자신의 ... 치료용 복제 성공 1. 복제양 돌리와 줄기
세포
의 만남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3. 배아 줄기
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기침을 해도 밖으로 나올 수 없는 폐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했고, 그 결과 폐
세포
가 손상을 입으면서 염증이 발생했다고 한다.NASA의 연구결과는 바로 이런 의문의 불씨에 기름을 부어준 꼴. 나노기술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시민단체들의 주장이 힘을 얻게 됐다. 그린피스를 비롯한 세계적인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상으로 가속하는 기술을 말한다 영화 '스타트렉'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인간처럼
세포
등의 원형질로 만들어져 겉으로 보기에는 인간과 전혀 구별할 수 없는 가공의 생물 그리스어로 '인간을 닮은 것'이라는 의미이며, '복제인간'이라고도 불린다환원은 어떤 물질에서 산소를 떼어내거나 ... ...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진행될 수 있다” 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이 가설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세포
생물학’ 2월호에 커버스토리로 게재됐다. 베일에 가려져 있던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의 역할을 상세히 규명해냈다는 점에서 학계가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없는 생쥐 ... ...
세계 최초 치료용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서울대 황우석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를 복제하고 여기서 치료용 줄기
세포
를 추출, 배양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백신 개발과 맞먹는 엄청난 성과 ... 성공 1. 복제양 돌리와 줄기
세포
의 만남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3. 배아 줄기
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
세포
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질적이어서 복제 성공률이 낮다는 것이 정평이다. 참고로 복제양 돌리는 암컷의 유선
세포
로, 1998년 세계 최초의 복제 쥐의 경우도 황 교수팀과 같은 암컷의 난구
세포
로 복제에 성공했다.남성 체
세포
복제 연구 필요그런데 일부에서는 동일인의 난자와 체
세포
를 이용했기 때문에 실제로 복제가 ... ...
파스퇴르연구소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기술과 정보, 연구인력 등을 지원받아 운영된다. 초대 소장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세포
생물학팀장인 울프 네바스 박사가 내정됐다. 1백50여명의 한국과 프랑스 과학자들이 참여하는데, 단계적으로 규모를 확장해나갈 예정이다.과기부는 한국 파스퇴르연구소를 세계적인 연구소로 육성하기 위해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더 유리할 것이다.시각뉴런의 피로도를 줄이려는 것도 한 이유다. 망막에 있는 감광
세포
는 매우 민감하지만 그만큼 쉽게 피로를 느낀다. 따라서 사물의 윤곽부위를 담당하는 뉴런들은 활성화시키고 윤곽 안쪽의 밝기 변화가 적은 영역은 측면억제로 뉴런을 덜 활성화시켜 쉴 여유를 주는 것이다 ... ...
패혈증 치료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LPC를 투여할 경우 10일이 지나도 90%가 살아남았다.허 교수는 “LPC 투여로 활성화된 면역
세포
가 세균을 물리쳐 생존율이 높아진 것”이라며 “이 물질을 토대로 기존 치료제보다 우수한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의학잡지인 ‘네이처 메디슨’ 1월호에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게놈 50개 이상이 모여야 하는 규모다. 설사 게놈을 합성했다 하더라도 이것이
세포
내에서 제대로 작동할지도 의문이다.197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해밀튼 스미스 박사는 벤터 박사와 함께 박테리오파지를 합성하는 동안 “70대인 자신과 60대인 허치슨 박사가 마치 갓 박사학위를 받은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