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지난해 7월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대(UCLA)의 이기영 박사가 체세포복제로 GM 발광 물고기를 만들어 과학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로지’에 발표했다.마리당 7.5달러 _ www.azoo.com.tw칠흙같은 검은색영국 국립물리학연구소(NPL)는 지구상의 어떤 물체보다도 검은 색감을 만들어내는 ... ...
- 대장금의 손맛 비결은 과학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이것이 바로 결이다. 결은 채소에서 식이섬유을 나타내고, 고기에서 길쭉한 근육세포의 모습이다.한 원장은 이 결 방향에 대해 칼질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음식의 질감이 달라진다고 말한다. 결방향과 나란히 썰면 질기고, 직각으로 썰면 연하다고 한다. 한 원장은 무채를 만들 때 어머니들이 ...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과학동아 l2003년 12호
- 내는 캅사이신은 물에 안 녹고 기름에 녹는 지용성 분자다. 따라서 물을 마셔봐야 구강세포의 수용체에 붙어 자극 신호를 계속 보내는 캅사이신을 떼어내기 어렵다. 물론 기름을 머금고 있으면 되겠지만 매운 상태를 벗어나려고 기름을 마실 수는 없는 노릇이다.우유나 아이스크림은 유화(emulsion) ...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점은 한번 전환이 일어나면 거의 되돌릴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예컨대 다세포 생물은 단세포 자손을 가질 수 없으며 진핵생물은 원핵생물 자손을 낳을 수 없는 식이죠. 이런 의미에서 굴드 교수님이 아까 비유하신 술꾼 모형은 생명의 진화 모형으로 적절치 않아 보입니다. 왜냐하면 생명체가 전환 ...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소수성인 꼬리는 내부를 향하는 구형의 작은 응집체, 즉 ‘마이셀’을 이룬다. 한편 세포막은 머리부분이 바깥쪽을 향하고 꼬리부분이 안쪽으로 향한 채 나란히 정렬돼 있는 것이다.실크단백질도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에 의해 수용액 안에서 자발적으로 1백-2백nm(나노미터, 1nm는 10-9m) 크기의 ...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연구가 일반인들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부시가 말한 78개 세포주 가운데 쓸만한 것은 11개에 불과한 것. 해양학자에게 바닷물 한컵을 건네고는 “이것을 가지고 바다를 연구하라”는 격이다.행성 보호Planetary Protection Officer나사에는 지구와 다른 행성이 인간에 의해 오염되는 ...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이상 바이러스의 번식을 통제하지 못한다. 결국 바이러스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면역세포수가 급격히 줄어든다. 그 결과 보통 때라면 쉽게 물리칠 수 있는 미생물들이 물밀 듯이 몰려와 우리 몸을 먹이로 잔치를 벌인다. 에이즈가 시작되는 것이다. 일단 이 단계로 돌입하면 대부분 1-2년 내에 ... ...
- 눈의 천적 자외선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질병이 생길 수 있다. 자외선이 조직에 열을 가해 화학반응을 일으켜 단백질이나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화상과 같다. 바닷가의 강한 햇빛, 용접 때 나오는 빛, 스키장 눈에 반사된 빛을 직접 보면 갑자기 많은 양의 강한 자외선이 각막에 들어온다. 2-4시간 정도 지나면 눈이 ... ...
- 근대화학의 아버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제품화됐다바이러스 억제인자 인간과 생물의 세포에 바이러스 등이 침입해 들어올 때 그 세포가 내는 당을 포함한 단백질로서 바이러스 등의 감염과 증식을 억제한다 항암작용이 있는 '꿈의 약'으로도 알려져 있다수집 정리한 엄청난 정보가운데서 자기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여러가지 검색식(AND, ... ...
- 세포막의 출입구, 물·이온 통로 밝혀내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이온을 받아들이거나 내보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30대에 연구 시작한 매키넌세포막에 이온통로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미 50여년 전에 알려졌다. 남아있는 중요한 과제는 이온통로가 어떻게 생겼는지 원자 수준에서 구조를 밝히는 것이었다. 지난 20여년 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이 과제를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