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부분인 동공을 둘러싸고 있는 홍채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 이 홍채의 색깔은 홍채 상피
세포
에 멜라닌색소가 얼마나 많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인종에 따라 홍채에 있는 멜라닌색소의 양이 다르다. 흑인 또는 아랍인 눈의 홍채 색깔은 검은색, 만주인은 황색, 우랄알타이족은 녹색,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어미 쥐가 먹은 음식이 새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힌 실험결과를 ‘분자 및
세포
생물학’지에 발표했다.실험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눠 진행됐다. 하나는 어미 쥐의 음식에 비타민B12와 엽산 등 4종의 영양제를 섞여 먹였고, 나머지는 영양제 없이 보통의 음식만 먹였다. 물론 이 두 어미쥐는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의학을 배운 뒤 평생을 현미경연구에 바친 스밤메르담(1637-1680)입니다. 적혈구
세포
를 처음 관찰했으며, 곤충을 변태 형태와 정도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한 곤충학의 원조입니다.렘브란트와 스밤메르담은 초상화로 연결됩니다. 스밤메르담의 초상화는 1675년 하루살이에 대한 책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발생하는 것이다.인지심리학에서는 두뇌 속에 있는 타고나거나 학습된 결과로서 신경
세포
들로 형성된 패턴을 ‘스키마’라 한다. 스키마는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패턴을 정신 속에 창조할 수 있다. 각 스키마는 상대적으로 얼마나 긴요한가에 따라 권력을 잡거나 권력에서 밀려난다. 스키마들은 ... ...
우울증 유발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스트레스를 겪은 후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이 2배 이상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연구진은 뇌
세포
사이에서 ‘행복’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조절하는 ‘5-HTT’ 유전자를 연구했다. 5-HTT 유전자는 길이에 따라 장형과 단형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단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장형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과 화학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세포
증식 과정에서 DNA 안에 티미딘 대신 넣는데, 이것은
세포
의 방사선이나 자외선 조사에 대한 감수성만 높여 주며 생명유지나 증식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원자력 시설이나 방사선 작업장 등에서 방사선원(放射線源) 주위의 국한된 영역을 막아 외부로 누출되는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없는 정자는 온도에 쉽게 민감해질 수 있다. 결국 효소의 작용이 어렵게 돼 정자는
세포
예정사의 길을 걷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자가 이런 죽음으로부터 피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정자가 만들어지는 정소를 외부로 끌어내 온도를 낮춰주는 방식이었을 것이다. 이런 과정은 성을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지배적 퍼넬을 가진 서열이어야 한다. 두개 이상의 경쟁적 퍼넬을 가진 서열이 있다면
세포
의 상태에 따라 다른 3차원 구조를 갖는 단백질로 존재할 것이다. 문제공간의 속성상 이런 희귀한 서열도 분명히 존재할 것이다.메커니즘 이해해도 결과 예측은 무리제도나 관습이 고착된다는 것은 하나의 ... ...
석유 탐사 장치가 암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센서의 성능에 고무된 파제트 교수는 암병동으로 관심을 돌렸다. 암환자들의 몸에는 암
세포
분화가 활발해서 그 부산물로 에탄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영국 던디의 나인웰스 병원에서 행한 임상 결과, 폐암환자 21명 중 20명이 에탄 농도가 높은 숨을 내쉬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암이 없는 환자 2 ... ...
쇠똥구리는 달빛으로 방향 잡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최초로 확인됐다. 주인공은 파브르 곤충기를 통해 익숙한 쇠똥구리.스웨덴 룬드대
세포
및 유기체 생물학과의 마리 대케 교수팀은 지난 7월 3일자 영국의 과학잡지 ‘네이처’에 아프리카 쇠똥구리가 햇빛보다 수백만배나 약한 달빛의 편광을 이용해 방향을 잡고 직선으로 움직인다고 밝혔다.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