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대부분이며 동물 중에서 가장 하등한 종류이다 생물의 생활사(生活史) 전체를 통해 단
세포
로 존재하는 생물 세균 · 남조류(藍藻類) 등의 원핵생물(原核生物)과 원생동물 · 편모조류(鞭毛藻類) · 규조(珪藻)의 대부분, 진핵생물(眞核生物) 중 일부 접합조(接合藻)와 녹조(綠藻)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 ...
줄기
세포
로 난자 만드는데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인간에 적용하는데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이번실험을 진행한 쉘러 박사조차도“줄기
세포
로 만든난자가 모든 기능을 갖고 있고 정상적으로 수정될 수있는지는 아직 증명되지는 않았다”며“이 기술이 인간의 불임치료에는 적용되지 않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
치매와 에이즈 극복의 지름길 침팬지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특이한 수용체를 발견했다. ‘CD81’로 명명된 이 수용체를 통해 말라리아 원충이 간
세포
로 침입하는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수용체가 간염바이러스의 수용체로도 작용한다는 점이다.침팬지는 말라리아뿐 아니라 간염바이러스에도 내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공동 설립한 미국 뉴저지주의 링구아겐이라는 생명공학회사는 2002년 11월에 쓴맛을 신경
세포
로 전달해 뇌가 쓴맛을 느끼도록 만드는 채널단백질인 ‘Trpm5’를 발견했다고 과학전문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보고했다. 그리고 2003년 1월 23일에는 쥐를 이용해 쓴맛을 내는 물질의 작용 방식을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철을
세포
안으로 운반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 운반체다. 티베트인의 적혈구
세포
내에 트랜스페린 수용기가 많다는 것은 헤모글로빈의 빠른 생성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을 조직에서 필요로 할 때 빨리 만들어 낸다고 가정해볼 수 있다.한편 에티오피아인의 경우, ... ...
남녀의 두뇌 차이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지금까지 남성과 여성의 뇌는 똑같은 기본형에서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런데 최근 남성과 여성의 뇌 차이가 유전자 ... 윙필드 박사는 “핀치의 뇌 차이는 염색체 차이로 인한 유전자의 영향을 받은 신경
세포
자체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영국경찰이 무장하기 시작한 전기총격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냉수나 알칼리 등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다나이세리아과(科)의 진정 세균류 몸은 두
세포
씩 밀착된 구균(球菌)이며 서로 부착된 면은 다소 편평하게 되어 있다그 때문에 쌍구균(Diplococcus)이라고 불렸던 때도 있었다그람염색에서는 음성이며 황색 또는 갈색으로 염색되는 경우도 있다병원성이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예술가협회도 각자의 특성에 맞게 독특한 과학행사를 마련해 축제를 빛내고 있었다.체
세포
복제로 태어난 최초의 포유동물인 복제양 ‘돌리’도 이번 축제에서 만날 수 있었다. 지난 2월 14일, 태어난지 6년만에 생을 마감한 돌리는 자신을 창조해낸 에든버러 소재 로슬린 연구소에 의해 에든버러 ... ...
입 속 세상 다스리는 구강청정제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구강청정제의 대표적인 살균·소독 성분 중 하나가 클로로헥시딘이다. 이 성분은 세균의
세포
막을 손상시킴으로써 살균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클로로헥시딘이 다른 성분보다 입 안에 오래 남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성분이 첨가된 구강청정제를 ... ...
나노 장치 이용한 유전자 전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손쉬운 셈이다.실제로 연구진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에 유전자를 부착시킨 후 이를
세포
핵에 전달하는 실험을 했다. 유전자 전달 후 빛이나 X선을 쏜 다음 유전자 교체를 시도한 결과 결함을 갖고 있던 유전자가 새로운 유전자로 교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연구팀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