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녀의 두뇌 차이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지금까지 남성과 여성의 뇌는 똑같은 기본형에서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런데 최근 남성과 여성의 뇌 차이가 유전자 ... 윙필드 박사는 “핀치의 뇌 차이는 염색체 차이로 인한 유전자의 영향을 받은 신경
세포
자체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영국경찰이 무장하기 시작한 전기총격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냉수나 알칼리 등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다나이세리아과(科)의 진정 세균류 몸은 두
세포
씩 밀착된 구균(球菌)이며 서로 부착된 면은 다소 편평하게 되어 있다그 때문에 쌍구균(Diplococcus)이라고 불렸던 때도 있었다그람염색에서는 음성이며 황색 또는 갈색으로 염색되는 경우도 있다병원성이 ... ...
사스바이러스는 감기바이러스의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21번 염색체가 다른 염색체에 전좌(轉座)된 전좌형 트리소미, 21번 트리소미와 핵형정상
세포
(核型正常細胞)가 혼재된 모자이크형 트리소미 등이 알려져 있다 여러번 변화가 거듭된 후의 지형 즉 원지형(原地形)에서 준평원(準平原)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 거듭하여 지반(地盤)의 융기 또는 그 후의 ... ...
3 표적 암
세포
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눈에 보이지 않는 암
세포
들이 퍼져 있는 넓은 지역을 조사한 다음 양성자 빔으로 암
세포
가 밀집해 있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사해주는 방법 등을 쓰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의 로마 린다 병원에서 전립선 암 등에 사용해 효과를 보고 있다.가속기 기술과 빔 조작 기술의 발전은 암환자 치료에 ... ...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나온 고에너지 입자에 노출될 것이다. 만일 이런 고에너지 입자가 인체에 닿아 체
세포
에 들어가면 염색체 이상이나 나아가 암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인체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전자기기는 에너지가 강한 입자의 피폭을 받아 작동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영화 ... ...
냄새로 난자 찾는 정자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왕성하게 섬모운동을 하게 된다.스퍼 교수는 “정자에서 발견한 냄새수용체는 코의 감각
세포
에 있는 수용체와 비슷하다”며 “인공적인 유인물질에 대응되는 유인물질이 실제로 여성의 몸 속에서 분비될 것이라고 보고 이를 찾는 연구를 진행중이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이 유인물질이 여성의 ... ...
나노 장치 이용한 유전자 전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손쉬운 셈이다.실제로 연구진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에 유전자를 부착시킨 후 이를
세포
핵에 전달하는 실험을 했다. 유전자 전달 후 빛이나 X선을 쏜 다음 유전자 교체를 시도한 결과 결함을 갖고 있던 유전자가 새로운 유전자로 교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연구팀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원숭이 콩팥
세포
에 넣어 수를 늘린 후 이뤄졌다. 과학자들은 앞으로는 환자의 조직
세포
에서 키운 바이러스를 직접 분석함으로써 바이러스의 감염경로와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사스의 피해는 한동안 중국 광둥성에 국한돼 있었다. 그러던 것이 광둥성 광저우에서 ... ...
병적도박과 알코올 중독 같은 생리현상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이다. 신경전달물질은 인접한 신경
세포
에게 신경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세로토닌은 기억력, 통증, 감정 변화를 조절하는 물질로 방화, 자살, 폭력과 같은 충동적인 행동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같은 충동장애인 병적도박도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예술가협회도 각자의 특성에 맞게 독특한 과학행사를 마련해 축제를 빛내고 있었다.체
세포
복제로 태어난 최초의 포유동물인 복제양 ‘돌리’도 이번 축제에서 만날 수 있었다. 지난 2월 14일, 태어난지 6년만에 생을 마감한 돌리는 자신을 창조해낸 에든버러 소재 로슬린 연구소에 의해 에든버러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