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식세포는 안 되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줄기세포
2014.12.24
개발했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팀은 한스 쉘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분자
생의학연구소장팀과 공동으로 ‘준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모든 세포와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만능줄기세포는 완전만능줄기세포와 준만능줄기세포로 나뉜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연구의 지평을 넓혀 다세포생물에서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세포유착
분자
(cell adhesion molecule, CAM)’를 발견했다. 그 뒤 뇌과학 분야로 진출한 에델만은 신경계가 면역계와 비슷하게 작동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1977년 ‘신경다윈주의(Neural Darwinism)’를 제창한다. 즉 에델만이 항체의 ... ...
[2014 올해의 여과학기술자상] 직격 인터뷰
2014.12.19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유 연구원은 우리나라 1세대 생명과학자다.
분자
생물학과 유전체 연구에 관해서 둘째가라면 서럽다는 평가를 받던 그는 2012년 ‘아시아 태평양 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APNN)’ 의장에 선출됐다. APNN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일본 인도 호주 등 12개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
2014.12.19
확인했다는 소식을 보내왔다. 이런 정보들은 지구 생명 탄생에 필요한 물과 유기
분자
가 혜성에서 왔다는 학설을 뒷받침하게 될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필레는 그늘진 곳에 착륙한 탓에 배터리가 방전돼 대기 모드에 들어간 상태다. 회춘의 실마리를 찾은 연구도 10대 성과에 올랐다. 미국 ... ...
나는 암세포 킬러, 암호는 ‘Y’
2014.12.17
향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다양한 항체, 단백질 등을 부착해 맞춤형 암 표적
분자
설계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나노’ 3일자에 실렸다. ... ...
화성에 물도 있고, 메탄도 있고, 수소도 있네
2014.12.17
억~37억 년 전에는 화성의 점토가 물이나 물에 잘 녹는 화학기인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진
분자
와 잘 결합했을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 시기는 지난 8일 NASA가 화성에 물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한 시기와 동일하다. 두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16일자에 나란히 실렸다. ... ...
100만 분의 1초 존재했다 사라지는 화합물의 결정구조 밝혔다
2014.12.16
분자
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제로 철(Ⅲ)-수퍼옥소가 망간화합물에 산소
분자
를 전달하는 사실도 확인했다. 남 교수는 “수퍼옥소는 광합성 같은 기초적인 생명 현상에서부터 항암제와 플라스틱 제조 공정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면서 “수퍼옥소의 구조와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몸에 보통 해로운 게 아니다. 게다가 포름알데히드가 대사된 포름산은 더 무시무시한
분자
다. 개미가 적을 공격하기 위해 내뿜는 개미산이 바로 포름산이다. 포름산은 세포호흡에 필요한 시토크롬산화효소라는 효소의 작용을 방해한다. 그 결과 세포들은 일종의 질식상태가 되는데, 평소 산소 ... ...
‘2014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함시현-임혜숙-유향숙
2014.12.15
찾아내고 단백질의 응집 성향을 90% 정확도로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 응집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공학 부문 수상자인 임 교수는 차세대 인터넷 통신망 장비의 핵심 부품인 패킷 전달 칩(엔진)의 고속화를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를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당시 슈뢰딩거는 DNA가 무엇이고 유전자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던 시기에 생물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려했다. 66년이 지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인 저자는 생명의 역사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생물학뿐만 아니라 화학과 물리학, 천문학 등 모든 과학을 총동원한다. 또 생명 현상의 단편을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