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숲을 ‘솎아베기’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해충이 많이 생길수록 산불에 취약한 살아있는 식물, 즉 화재의 연료로 쓰이게 될 식물을 줄이게 된다”며 “특히 해충이 나뭇가지의 수평, 수직 분포를 바꾸므로 산불이 크게 번질 위험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케톤 교수는 “이번 연구를 ... ...
- 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양은 약 8분의 1, 일산화탄소는 약 5분의 1 등으로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쿨럭쿨럭~, 깨끗한 공기를 찾아라!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Part 2. 초미세먼지는 국경이 없다?!Part 3. 실내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희귀병을 앓는 어린이가 많아요. 전세계엔 희귀병 환자가 3억 명이고 어린이가 그 중 약 50%에 해당하거든요. 다가오는 2월 28일은 ‘세계 희귀질환의 날’이에요. 친구들도 수현이와 같은 희귀병 어린이를 돕는 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 망원경의 시작이었지요. 리퍼세이가 발명한 망원경은 약 3배 정도의 배율을 갖고 있었답니다. 스미스소니언 현미경과 망원경으로 멋지게 관찰해요!우리의 머리카락을 크게 확대하면 어떻게 보일까요? 달의 울퉁불퉁한 크레이터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볼 수 ... ...
- [과학뉴스] 백악기 뜀걸음 포유류 발자국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한국, 미국, 중국으로 이뤄진 국제공동연구팀이 화석을 분석했다.화석이 발견된 지층은 약 1억10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진주층으로, 그간 공룡과 익룡의 발자국 화석, 어류, 곤충, 식물화석 등이 발견된 국내 최대 화석산지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한 화석을 ‘코리아살티페스 진주엔시스 ... ...
- [과학뉴스]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이러스에 따라 콧물 속 단백질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88명을 대상으로 약 7g의 콧물을 채취해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86%의 정확도로 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었다. 감기의 원인 바이러스를 빠르게 확인하면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등 더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긴즈버그 박사는 “감염을 ... ...
- [과학뉴스] 눈 덕분에 육지로 올라온 고대 수중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틱타알릭의 눈이 약 1200만 년에 걸쳐 약 13mm에서 36mm로 세 배가량 커진 것을 확인했다. 과도기를 지나 육지로 올라오기 시작했을 때의 틱타알릭의 눈은 현재의 악어의 눈과 크기가 비슷했다. 연구팀은 틱타알릭이 확대된 눈으로 수면 위의 환경을 70배나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공개하지 않는다. ‘약은 약사에게~’라는 광고 카피처럼 약을 복용할 때에는 전문의나 약사와 반드시 상의해야 한다. +더 읽을거리자몽주스 하루에 한 잔이 항암제를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248787.php 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데 모든 생물은 각자의 신경망을 동원한다. 지금까지 이 신경망이 완전히 해독된 생물은 약 1mm 정도 크기의 예쁜꼬마선충뿐이다. 그들이 가진 302개의 세포와 8000여 개의 연결망이 20여년의 연구 끝에 모두 해독됐다. 반면 인간 뇌의 신경망 수는 1000조 개에 달하는데다, 매 순간마다 변화를 거듭한다.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밝혀 그 결과를 2013년 학술지 ‘행동 과정’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만약 위험신호를 듣고 반응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라면, 포식자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사는 무리들은 이 같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아프리카 본토와 멀리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