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90건 검색되었습니다.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형광염료를 개발했다. 이 형광염료는 카페인과 결합하면 형광
신호
가 250배 이상 증가하는데 조 교수는 이 형광염료를 이용해 카페인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이 형광염료를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에 섞은 뒤 초록색 레이저 포인터를 쏘면 두 가지 빛을 내요. ... ...
꼬리 치는 야생 여우, 있을까 없을까
2015.01.16
지목했다. 이곳은 동물이 위협을 느낄 때 활성화 돼 상대를 공격하거나 도망가도록
신호
를 보낸다. 실제로 사람을 잘 따르는 여우는 다른 여우보다 혈액 속 부신피질호르몬의 농도가 낮았고, 부신피질호르몬이 더 많이 나오도록 유도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농도 역시 낮았다. 인간이 먹는 ... ...
내가 금연을 하는 건 ‘담뱃값이 올라서’가 아니야
2015.01.15
아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정신분열증이 생길 확률이 높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감각
신호
를 인식하는 ‘TCF4’라는 유전자의 이상으로 감각이 민감하게 반응해 지나친 망상을 하는데, 바로 담배가 TCF4를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든다. 2012년 03월 28일자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13
낮아질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효율적인 기구 설계와 함께, 제어보드와 생체
신호
센서 등의 핵심부품을 모두 자체 개발했다. 우리나라는 로봇과 웨어러블 기기 등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 기반에는 지난 20여년간 꾸준한 연구 개발과 인력 양성에 기인한 바가 크다.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인해 BDNF 단백질 수용체가 BDNF를 잘 인식하지 못하게 되고 심장세포가 BDNF 단백질의
신호
를 받아서 박동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이 수용체를 부족하게 만든 쥐를 관찰한 결과 심장의 수축-이완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닝 팽 박사는 “격렬한 운동을 할 때 심장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레트로바이러스의 전사가 일어나고 전사체(RNA단일가닥)나 역전사된 DNA이중가닥이
신호
로 작용해 B세포를 성숙시켜 항체를 만들게 한다는 것. 이제는 고전이 된 리처드 도킨슨의 ‘이기적 유전자’는 개체가 아니라 유전자를 생명의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일으켰다. ... ...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재생’과 관련된 연구 결과이기 때문이다. 신경세포는 감각이나 생각, 동작 등의
신호
를 온몸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다. 신경을 다치면 심한 경우 하반신 마비처럼 몸의 일부를 쓰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손상된 신경이 다시 재생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땅속에 있는 빈 공간이지만 탐사법은 전혀 다르다. 싱크홀 추적에는 전파 대신 전기
신호
를 감지하는 전기비저항 탐사법이 사용된다. 싱크홀은 석회질 암석이 지하수에 녹아 땅속에 빈 공간이 생긴 것이다. 시추공을 뚫는 과정까지는 땅굴 탐사와 동일하지만 전파 발생 장치 대신 전극을 넣어 옆의 ... ...
내 이름은 ‘봉우리’, 내 임무는 센서~
2015.01.08
기록했다. 40ms가 걸리는 기존 센서보다 5배 빠른 속도다. 또 대부분의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 영역인 60Hz에서 활동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래들리 연구원은 “봉우리를 이용하면 하나의 신경회로는 물론 수천 개의 신경회로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기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이식이 가능하다. 이렇게 이식 한 장치는 카메라가 달린 안경다리와 무선으로 연결해
신호
를 주고 받으며 시신경에 정보를 전달한다. 아직 임상실험은 시작하지 않았지만 토끼 등을 통한 동물실험에는 이미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하려면 모든 기술의 95% 정도를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