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90건 검색되었습니다.
젊은 뇌는 빨개요
2014.11.02
축색돌기를 싸고 있는 부분으로, 뇌 속 마이엘린 함량이 높다는 것은 이 부분의 전기
신호
가 빨리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젤라 커치스 미국 메사추세츠종합병원 박사는 뉴로이미징 기술을 이용해서 젊은 뇌와 나이 든 뇌를 비교했다. 뇌 속 마이엘린 함량은 노화로 인해 점점 감소하기 ... ...
팔뚝에 특수 밴드 찼더니 아바타가 똭!
2014.10.24
따라했다. 이 밴드에는 움직임을 인식하는 센서가 달려 있어 근육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
를 읽는다. 김 연구원은 “원격 회의나 게임 등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게 목표인 만큼 밴드를 붙이기 위해 젤을 바르지 않아도 되고 밴드도 팔에서 편한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번엔 한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UC버클리) 교수는 “초미세 공정을 만드는 나노 기계기술과 생체 특성을 디지털
신호
로 바꾸는 회로 기술 등 바이오칩에는 기계기술이 핵심”이라며 “최근 첨단 의공학 장비 개발에는 기계기술과의 융합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위해서는 바이오기술은 물론 초미세 공정을 만드는 나노 기술과, 생체 특성을 디지털
신호
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전자공학 기술 등 많은 분야의 융합이 필요하다. 이번 포럼에서 서로 다른 과학기술 분야를 융합해서 바이오칩 제작 공정의 통합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런 기술이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같은 통상적인 원인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쓰고 있다. ●청색LED 발명은 건강의 빨간
신호
?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청색LED를 발명한 일본 물리학자들에게 돌아갔다. LED가 백열전구와 형광등에 이어 3세대 조명으로 등장하는데 청색LED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햇빛 같은 자연스러운 ... ...
쇼핑몰 안에서 헤매지 마세요~ 실내 내비게이션이 있잖아요
2014.10.15
제공되지 않는 건물 안에선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ETRI 측은 무선인터넷의
신호
강도를 측정해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계산하는 기능을 추가해 정밀도를 높였다. 오차범위는 5m 정도다. 또 사용자가 직접 관심지점(POI)을 입력해 길을 찾아가는 기능을 추가했다. ETRI는 20일 부산에서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세기를 기억하는 과정을 거쳐 작동한다. 카메라 센서가 시각 정보를 인식하면 기억된
신호
와 비교한 뒤 출력 형태가 결정되는 방식으로 사람의 뇌가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똑같이 구현한 것이다. 지금은 간단한 숫자를 분별하는 수준이지만 멤리스터 제작 기술이 ... ...
LED 교통
신호
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LED 내부에서 전자사이의 거리가 최소로 줄어들어 효율이 높아진 것이다. 연구진은
신호
등에 질화갈륨은 물론 자동차 전기장치 소자에 활용되는 산화아연(ZnO), 광센서 및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카드뮴 설파이드(CdS) 등 주요 반도체 재료 구조 50여 종의 효율개선을 위한 구조개선 방법 역시 추가로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가시가 자라서 구리막에 닿으면 전압차가 사라진다. 연구진은 전압차가 0이 되는 순간
신호
를 보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메시지를 띄우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 구리막과 음극 사이의 저항을 측정해서 리튬 가시가 구리막의 어느 부위를 찔렀는지도 알아낼 수 있었다. 연구팀이 만든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되는지에 대해 박사 논문을 쓰기로 정했다. 오키프 교수는 특정 장소에서만 전기
신호
를 발화해 장소 정보를 처리하도록 특화된 장소세포가 해마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1971년 최초로 발견하여 이후로 해마의 공간 정보 처리 기능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해오고 있었다. 그렇기에 장소세포를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