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남극 밍크고래 개체수를 51만~72만 마리로 추정한다”며 “전체 개체수에서 300마리는 0.06% 정도인 만큼 멸종위기를 이유로 비난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래에 작살을 꽂는 행위 등을 잔인하다고 규정해 고래잡이 자체를 비난할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시 셰퍼드가 오션 워리어를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진을 찍어. 2012년에 처음 봤는데 그때는 장치가 무척 작았어. 카메라 한 대가 둥지 7개 정도밖에 못 찍는 거래. 게다가 한 시간마다 찍는 거라더니 기온이 너무 낮아서 기기가 고장을 일으켰다나? 그래서 불규칙적으로 촬영하는 바람에 과학자들이 난감해 하더라. 그 기기들은 얼마 못가서 사라졌어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번개가 칩니다). 지진이 일어난 지역에는 중력이상이 발생합니다. 물론 시공간을 구부릴 정도의 엄청난 중력 변화는 아니지만, 중력과 지진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1999년에 사는 고백부부 주인공들은 결국 결혼을 하게 될까요? 이 내용까지는 차마 스포일러를 할 수가 없네요. 사실 과거의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함께 신경망에서 일어나는 신호 전달 과정의 비밀도 밝히고 있다. 연구팀은 몸길이 1mm 정도인 예쁜꼬마선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예쁜꼬마선충은 신경세포가 302개에 불과해 신경망의 네트워크 연결구조가 상세히 밝혀져 있다. 연구팀은 이 신경망 네트워크 연결구조를 활용해 신경망에서 신경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이디어에서 시작해 모든 가능한 경우를 다 조사하는 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약 5000줄 정도의 C++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컴퓨터로 증명했지요. 컴퓨터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이 증명을 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더 쉬운 문제긴 하지만, 왜 이런 무늬의 수가 유한 개뿐인지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장사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고 생각할 때 터지는 법이야. 하루는 고기마니를 사갔던 ‘김손님’ 씨가 다시 와서 음식을 바꿔달라고 하지 뭐야. 소고기를 너무 오래 구웠는지 질겨서 씹히지도 않는다더군. 늘 초시계를 올려놓고 고기를 굽던 나는 김손님씨의 말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지. 그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빨강, 파랑, 초록색, 흰색 LED와 적외선 빛을 이용해요. 게다가 기존 식물재배장치보다 4배 정도 강한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하지요.또한 APH는 자동화된 식물재배장치로, 180개 이상의 센서를 갖고 있어 식물이 필요할 때 자동으로 물을 주거나 빛이나 온도를 조절해요. 앞으로 우주에서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왔답니다.◀ 사람이 재배하기 전의 야생 수박은 지름이 5cm 정도, 당도가 2~6브릭스 정도인 작고 쓴 열매였다. 또 지금의 수박과 달리 하얀 과육이 특징이다.시트룰러스 라나투스는 기원전 2000년쯤, 고대 이집트 나일강 근처에서 최초로 재배됐을 거라 추정돼요. 그 뒤 7세기에 인도, 10~11세기엔 중국을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넣고 발효시켜 순수한 에탄올만 분리해 냈답니다. 그 결과 수박에 포함된 설탕 1g당 0.4g 정도의 바이오에탄올을 얻는 데 성공했죠.피시 연구원은 “옥수수나 사탕수수를 활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은 식량 낭비라는 비난을 듣고 있다”며 “곡물 대신 한 해 동안 미국에서 버려지는 수박을 ...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미세 플라스틱이 침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된 알은 10~15% 정도만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고, 83%는 부화되지 못하고 죽었다. 안 교수는 “향후 플라스틱의 위해성 평가와 적절한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98-017-12299-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