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이보그의 원래 팔의 일부가 남아 있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현재 기술로도 어느 정도는 구현이 가능하다. 남아 있는 팔에서 근육이 만들어내는 근전도(EMG)라는 전기신호를 측정해서 전자 의수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원리는 간단하다. 우선 남아 있는 팔 부위와 전자 의수가 닿는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만큼 엄청난 규모였다. 30년 뒤 미국이 러시아로부터 사들인 알래스카 주가 720만 달러 정도였으니 스미스슨이 남긴 유산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그의 유산은 미국에게 특별한 선물이 됐다. 미 정부는 그의 유지를 잘 살려 미국인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깊고 넓은 지식을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공 장치에 전기장을 걸어 플라스마 상태를 형성한 뒤 메탄 가스를 주입하면 섭씨 400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그래핀 박막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이용했다. 그래핀으로 코팅한 구리나노선으로 투명전극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전극의 성능을 판단하는 요소인 면저항이 두 달이 지나도 ITO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눈은 황금눈?사진에 정보를 숨기는 방법을 살펴보기 전에 우리 눈이 색의 차이를 어느 정도로 구분할 수 있는지부터 테스트해볼 거예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타일 뭉치에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16개 타일 중 2개만 나머지와 색이 다릅니다. 눈을 크게 뜨고 여섯 개의 타일 뭉치에서 색이 다른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카우딥테릭스는 일반적인 수각류 공룡과는 다른 겉모습을 갖고 있어요. 몸무게가 2.5kg 정도로 몸집이 매우 작고 주둥이는 부리 형태로 새와 비슷하게 생겼지요.카우딥테릭스의 화석이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 1997년 중국 북동쪽에 위치한 요녕성이에요. 이곳에서 위석이 함께 발견되면서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추세라면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 총량이 무려 1억 5500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했어요. 이 정도면 전세계 해안을 따라 두께 30cm, 높이 30m의 쓰레기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그 결과 최근 1~2년 사이, 해양 쓰레기를 집 삼아 살기 시작한 소라게들의 모습이 전세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답니다.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는 미국의 1971년 알래스카 핵실험을 예로 들었다. 규모 7.0의 인공지진을 일으킬 정도로 큰 핵실험이었지만 인근 해저에 있는 화산 중 어느 것도 분화하지 않았다. 그는 “핵실험이 화산 분화를 일으킬지 모른다는 걱정보다는, 함몰지진을 야기한 핵무기 자체가 더 걱정스러운 문제”라고 말했다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0kW의 에너지가 8cm2 면적에 집적되면 단위면적 당받는 에너지는 약 1.25kWcm-2다. 이 정도 히트 비전이면 두께가 5mm인 강철판은 자를 수 있다. 그러나 미사일을 요격하는 무기로 쓰려면 이런 레이저 빔이 100개는 필요하다. 그럴 땐 슈퍼맨이 두 눈에서 동시에 레이저를 뿜어내는 것처럼, 여러 개의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던지는 삼지창을 설계한다면, 창의 길이가 2m라고 가정했을 때 캐비테이터의 지름은 5cm 정도가 적당하다. 문제는 삼지창은 포크처럼 창살이 여러 개로 갈라져 있어 초공동 현상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각각의 창살에 초공동 현상이 생기더라도 이것들을 가로로 잇는 가로방향 봉 때문에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화성 기지 곳곳을 촬영한 동영상을 공개했다. 화성 기지는 천막 돔으로 크기가 약 384m3 정도다. 6명이 함께 살기에 넉넉한 공간은 아니지만, 침실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고, 부엌, 거실, 실험실, 화장실이 들어가 있다. 영상에서 공개된 화장실은 얼핏 일반 가정집의 화장실과 비슷해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