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55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05
항생제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디가드 단백질’이 있음을 알아냈다.
김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세균을 배양하기 전에는 세균이 어떤 종류인지, 어떤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면서 “환자의 피나 소변을 채취한 뒤 ‘보디가드 단백질’을 표지 단백질 ... ...
유전 정보 전달하는 전령RNA, 이렇게 사라진다
2014.12.05
효소를 인위적으로 제거했더니 전령RNA에서 유리딘 꼬리가 사라지며 분해가 느려졌다.
김
교수는 “유리딘 꼬리의 의미를 처음으로 밝힌 데 의의가 있다”며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서 전령RNA가 어떻게 분해되는 지 이해할 수 있게 된 만큼 유전자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 ...
125nm HIV 막는 0.03mm 두께 콘돔
과학동아
l
2014.11.28
, 성병 중 하나인 임질의 병원균 지름은 800nm인 데 비해 HIV의 지름은 125nm에 불과하다.
김
차장은 “문제없다”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실험 결과 콘돔을 잡아 늘린 상태에서도 병원균과 바이러스가 통과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비결은 천연고무에 첨가물을 섞는 첫 번째 과정에 있다. 수령이 ... ...
초고화질(UHD) 다음은 풀 초고화질(UHD)
2014.11.25
밝혔다. 산소는 소재 속에 고정된 전자를 다시 흐를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김
박사는 “이제 초고화질급을 넘어 풀 고해상도(lHD)의 16배 정도인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NPG 아시아 머티리얼즈’ 1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4V로 높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 정도의 전압이면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수도 있다.
김
연구원은 “탠덤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 접합 태양전지 분야에서 발전한 사항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전지를 이용하면 이론적 한계효율을 뛰어넘을 수 ... ...
초기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조절 현상 최초 규명
2014.11.23
아데닌 꼬리를 달아주는 것은 ‘위스피(Wispy)’ 효소라는 점도 추가로 알아냈다.
김
단장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초기 배아단계의 중요한 생명현상을 이번에 새롭게 밝혔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인 ‘셀’의 자매지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13일자 ... ...
인생 최고의 가치는 ‘사람'과 '소통’
동아사이언스
l
2014.11.20
것이 아닐까요. 예를 들면 소박하고 행복한 밥 먹는 시간 같은 것 말이에요(웃음)."
김
상무는 "여성 직원들은 혼자서도 일을 잘 하는 편이지만 때로는 팀플레이어 정신이 필요할 때도 있다. 자신이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예비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적용해 양자점 분산액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김
박사는 “과거에는 대량의 화학 용매가 필요했지만 이 기술은 공정 전반을 자동화 할 수 있고 용매 사용량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고품질의 양자점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신경세포끼리 이어주는 접착제 발견
2014.11.18
두 단백질이 결합한 3차원 구조를 밝혀내고 결합의 핵심이 되는 부위도 함께 찾아냈다.
김
교수는 “시냅스접착단백질의 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뇌질환의 발병기전 이해에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건 불가능하다. 유일한 가능성은 중력이다. 영화에서도 중력을 이용해 정보를 보낸다.
김
교수는 “블랙홀 안에서 중력을 자유자재로 조종하는 설정은 허구”라며 “통일장이론을 완성한다고 해도 이것으로 인해 인류의 삶이 드라마틱하게 바뀌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