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55건 검색되었습니다.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가리지 않고 잠을 자지 못하거나 수면시간이 크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
김
교수는 “초파리와 인간은 비슷한 수면 항상성을 가지고 있어 수면 항상성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알 수 있는 결과”라며 “향후 인간의 수면 항상성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안약으로 실명 원인 1위 질환 치료
2014.11.07
등을 대상으로 동물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시신경 세포의 사멸을 막는 효과가 뛰어났다.
김
교수는 “현재까지 시신경 세포의 죽음을 막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다”며 “치료제 개발에 성공하면 새로운 형태의 치료제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피 한 방울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2014.11.06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진단하는 ‘나노바이오 센서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이다.
김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혈액 검사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진단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며 “치매를 조기에 진단해서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고 직·간접적인 의료비를 절감하는 ... ...
막나가는 세포분열 막는 새 ‘브레이크’ 발견
2014.11.04
RNA가 PKR 효소를 활성화시켜 체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최초로 밝혀졌다.
김
단장은 “체세포분열의 결함은 암세포 초기 발달의 특징 중 하나인 만큼 이번 연구결과가 암세포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없다. 따라서 생물학 교과서에서도 그저 생명의 몇 가지 특성을 정리한 수준이다.
김
교수는 이런 상황도 책에 설명했다. “한 마디로 딱 부러지게 말할 수 없는, 같은 듯 다른 아니 다른 듯 같은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생명의 매력이 신화에 묘사된 판도라를 닮은 듯하다. 게다가 생명체의 조작과 ... ...
토종 로봇 이용한 뇌수술 현장… 4mm 로봇팔로 종양 제거 척척
2014.11.02
수술시야가 좁고 수술도구가 닿지 않는 곳도 많아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김
교수는 “미세수술로봇을 이용해보니 시상하부 같은 뇌속 깊은 곳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수술을 할 수 있었다”며 “오늘은 혼자서 로봇수술을 했지만 앞으로 의사 2명이 함께 4개의 로봇팔을 조작한다면 ... ...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에
김
승환 포스텍 교수 선임
2014.10.29
김
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제24대 한국과학창의재단 신임 이사장으로
김
승환 포스텍 물리학 ... 재직 중이며 2013년 한국과학기자협회에서 수여하는 ‘올해의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김
신임 이사장은 29일부터 3년 임기를 시작한다. ... ...
[사이언스 브리핑]
김
상연 과학동아 편집장 ‘제48회 한국잡지언론상’ 기자부문 수상자 선정 外
2014.10.24
한국잡지협회가 선정하는 ‘제48회 한국잡지언론상’ 기자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김
편집장은 2010년부터 월간 과학동아 편집장으로 재직하며 심층 과학 보도를 이끌고, ‘과학동아 카페’ 등 독자들과 직접 소통하는 과학 토크 콘서트를 기획해 국내 과학 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 ...
팔뚝에 특수 밴드 찼더니 아바타가 똭!
2014.10.24
그를 따라했다. 멀리 떨어져 있는 물건도 손가락 하나만 까딱해 로봇 팔이 대신 옮겼다.
김
연구원은 “로봇 팔이 물건을 잡았을 때 전달되는 압력이나 촉감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햅틱 피드백’ 기능을 1~2년 안에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깊이카메라와 일반 카메라를 함께 이용해 만든 ... ...
시간 보듯 실시간 혈압 재는 ‘손목시계형 혈압계’
2014.10.22
수 있다. 또 의료 기관으로도 전송할 수 있어 혈압에 따른 개인 건강관리도 가능하다.
김
교수는 “100년 넘게 사용된 혈압 측정 방법을 근본적으로 뒤바꾸려는 생각에서 웨어러블(입는) 장비를 구현할 수 있었다”며 “1년 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