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뉴스
"
암
"(으)로 총 3,312건 검색되었습니다.
파킨슨병 걸린 사람이 뇌종양도 걸리기 쉽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결과를 얻었다. 뇌종양 환자의
암
세포에서 핑크1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했더니 신경
암
세포와 신경줄기세포의 증식률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이다. 이 연구원은 “핑크1 유전자를 타켓으로 한 신약 후보물질을 찾는다면 신경퇴행성 질환과 뇌종양을 치료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정영훈의 미수다] 2023년, 의료 한류가 세계를 휩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26
조사해
암
조직을 정확히 괴사시킴으로써 수술하지 않고
암
을 치료하는
암
치료기기.
암
을 칼로 도려낸 것 같아 ‘하이프 나이프’라고도 지칭. 종양 초음파 기술은 이미 국내외적으로 기술개발이 상당 부분 이뤄져 있고 해외의 경우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음. 기술의 예상 실현 시기는 3~4년 후.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점에서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문제는 이 약물이
암
환자 모두에게 효과를 보이진 않는다는 점이다. 다행히 대형 제약사 다섯 곳 이상이 참여하고 있어 이어지는 연구와 실험을 통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획기적인
암
치료법’ 올해의 과학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암
면역치료법은 이미 있는 면역세포를 이용할 뿐 아니라 효과가 지속적이라는 점에서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을 받으며 올해 최고 뉴스에 올랐다. 올해의 뉴스 중에는 한국인 과학자가 이끈 연구도 눈에 띈다. 바로 정광훈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 연구원이 주도한 ‘뇌를 투명하게 ... ...
발
암
물질로 인한 DNA 손상, ‘이것’만 있으면 오케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19
세포핵을 오갈 수 있는지, 얼마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실제
암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채널A] 초소형 ‘박테리아 로봇’ 개발…
암
치료 새 길 열린다
채널A
l
2013.12.18
걸 볼 수 있었습니다. 박테리오봇은 초기
암
세포에까지 침투할 수 있어 상용화될 경우
암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이현경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31217/59592389/1 ... ...
암
세포 직접 방문해 파괴하는 박테리아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기존 항
암
치료방법과 달리 능동적으로
암
세포에만 항
암
제를 전달할 수 있다”며, “
암
세포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 ...
‘열’ 받은 DNA, 구조가 바뀌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내에서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
암
치료 연구에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월 15일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창조경제 성공하려면 정치인은 좀 빠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3.12.12
대가다. 1988년에는
암
과 관계가 깊은 ‘Ras’ 단백질의 3차원구조를 밝혀내 항
암
제 연구 개발에 큰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를 벗어나기 위해 국가 연구개발 투자는 늘리고 있지만 선도적 위치로 나가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초과학 수준에 대해 김 ... ...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는 ‘나로호 3차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12.11
TV’가 선정됐다. 이밖에 뇌세포막을 제거해 뇌를 투명하게 보는 기술과 폐
암
이나 유방
암
의 전이를 차단하는 신물질, 나노 입자로 만든 슈퍼렌즈 기술, 곤충 눈을 닮은 초광각 카메라, 물리학의 오랜 난제 ‘호프스타터의 나비’를 그래핀으로 구현한 성과 등이 올해의 연구업적으로 인정받았다.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