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스페셜
"
모두
"(으)로 총 3,99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초소형 인공위성 시대 앞두고 아이디어 실현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로보틱스 대표. 코리아스페이스포럼/AZA 인공위성이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지구로
모두
전송하려면 그만큼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콩돌 스페이스 로보틱스에서는 인공위성에 AI를 달아 스스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중요한 것만 추려 지구에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 발사체 분야의 ‘리무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우주에 접근하는 능력과 우주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내려받을 수 있는 데이터 접근성을
모두
제공하려 한다”고 말했다. 위성체를 발사하는 고객이 위성체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베스나드 CTO는 “위성체를 개발하는 업체는 힘들고 많은 것을 해야 한다”라며 “이들이 실제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유럽의 소국 룩셈부르크, 우주에서는 누구보다 큰 공간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국경을 개방한 결과 현재 150개 기업이 룩셈부르크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들을
모두
지원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벤처캐피탈 유입이 중요하다며 이를 적극 지원할 뜻을 밝혔다. 슈나이더 부총리는 “지금도 50개의 민간기업과 공기업이 있어 우주를 향한 꿈을 현실화하고 있다”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도 사람처럼 잠을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3
모르게 안구가 빠르게 움직인다. 반면 '깊은 잠'인 논렘(NREM)수면일 때는 몸과 뇌가
모두
수면에 빠져 안구 운동 등이 일어나지 않고 근육이 이완하면서 호흡과 심박수도 감소한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 정도에게만 렘수면 단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어류 등 다른 ... ...
장내미생물처럼 콧속에도 건강지킴이 세균이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연세대 공동 연구팀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균이라고 해도
모두
병을 옮기는 악당은 아니다. 장내세균 중에도 소화를 돕고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이로운 균이 있듯이, 호흡기 점막에 있는 세균도 '좋은 일'을 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팀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서울대병원 등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1로 결합되면 그게 공장에서 기계로 만들어졌든 바다나 호수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졌든
모두
다 소금이다. 왜냐하면 염소나 나트륨이 이 우주를 구성하는 아르케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염소나 나트륨 같은 원소는 우리 우주의 만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들로서, 탈레스가 주창했던 ... ...
“북한 결핵문제는 무관심속에 천천히 진행되는 재앙”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북한의 한 환자가 결핵을 완치한 뒤 인세반 유진벨재단 회장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있다. 유진벨재단 제공 “북한의 결핵 문제는 승객 13만 명이 타고 있는 커 ... 앗아갔다. 하마터면 21세기에도 한국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모두
가 알아야 한다. 유진벨재단 ... ...
러, 기존 ICBM 위성 발사체로 활용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러시아 국방부 제공 러시아가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앞두고 기존 ICBM을
모두
위성 발사용 발사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이달 7일 드미트리 로고진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 국장이 로스코스모스와 러시아 국방부가 옛 소련 ... ...
[인류 달 탐사 50년] 헬륨3 찾으러 달에 가는 '찬드라얀 2호'(3)
과학동아
l
2019.07.08
부피가 약 1000배 이상 더 큰 목성을 거쳐 태양계 끝자락의 토성과 천왕성, 해왕성을
모두
탐사했다. 이러한 인류의 우주 탐사는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을 정복하면서 본격화됐다. 인도는 첫 시도에 달 탐사에 성공해 주목받았다. 인도는 2008년 찬드라얀 (Chandrayaan) 1호를 달 궤도에 보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벌레 신경세포의 연결망 'WWW'
동아사이언스
l
2019.07.06
네이처가 이 작은 선충을 표지 모델로 등장시킨 건 최근 이 벌레의 신경세포가
모두
연결된 형태로 나타난 지도인 ‘커넥톰’이 완성됐기 때문이다. 네이처는 인터넷망을 뜻하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영감을 얻어 신경망을 표현할 제목으로 ‘웜 와이드 웹’을 선택했다. 스콧 에몬스 미국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