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문
읍
도시
미문
가집
한시
타임
d라이브러리
"
시
"(으)로 총 4,77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르 남태평양서 15년 일생 마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것 같은 생각이 든다”고 서운함을 감추지 못했다고 AFP, AP통신이 전했다. 그는“만약 러
시
아가 재정이 튼튼했다면미르호를개조할수도있었을것”이라면서,“ 미르가 낡았다는 주장은 정치적 의도를 정당화하려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청사진을 인공효소로 그리고 있는 셈이다. 누군가는 공상과학영화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시
나리오를 쓰고 있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오늘도 어린아이가 레고 조각을 떼었다 붙였다 하며 새로운 그 무언가를 만드는 심정으로 인공효소에 한발씩 다가가고 있다. 판도라의 상자 속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발사 및 착륙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1903년 라이트 형제가 대머리독수리를 관찰하며 탄생
시
킨 비행기는 방위산업을 거치면서 개발과 제작의 신뢰성이 급속히 향상됐다. 상상 속에서나 가능했던 항공비행은 그동안의 기술개발과 안전성 향상으로 이제는 비용도 크게 줄었으며 평범한 일상생활의 ... ...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문제의 그림은 북쪽 하늘의 모습이므로 문제(1)의 답은 F다.물론 정오의 고도가 오전 10
시
보다 더 높지만 차이가 크지 않다. 한달 뒤 정오 해의 고도는 더 높아야 하므로 문제(2)의 정답은 B다. 정오 해의 고도는 계속 높아져 추분이 되면 천정(머리 위)으로 오게 된다.그리고 해가 수직으로 뜨기 때문에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않으면 무섭게 화를 낸다. “자신이 언제까지 실험을 한다고 했으면 하루 24
시
간을 48
시
간으로 늘려 사용하던 밤을 새던 지키라고 해요. 그것이 결국 자신의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죠.” 물론 힘들고 어렵다는 것을 안다고 덧붙인다. 정기준박사는 “다른 실험실에 비해 일이 많지만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인간의 몸값을 천냥이라고 한다면 9백냥을 차지한다는 눈. 특히 눈에서 흘러나오는 눈물은 인간의 수많은 감정을 대변하는 또하나의 언어로 받아들여진다. ... 긴장감에서 해방
시
켜 줄 수 있는 울음. 오늘부터는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며 참기보다는
시
원스런 눈물을 한번 흘려보면 어떨까 ... ...
여행달력겸용 해
시
계 만들기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짧은 바늘은 90˚를 이루므로 그림에서와 같이 가운데가 남쪽을 가리키게 된다.그러면 12
시
에는 어느 쪽이 남쪽일까? 정오에 해가 남쪽에 있으니까 짧은 바늘을 해가 있는 쪽으로 향하면 바로 그 쪽이 남쪽이다 ... ...
대학입
시
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현상을 다루고 있다생각해볼문제∙ 왜 얼음은 물의 가장 아래쪽이 아니라 위쪽에서 얼기
시
작하는지 설명하라.∙ 대륙성∙해양성 기후의 차이는 무엇 때문에 나타나는 것인지 설명하라.∙ 낮에 해풍이 불고 밤에 육풍이 분다. 왜 그러한가?∙ 일교차가 큰 사막에서 선인장이 물을 많이 포함하고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2월 12일 새벽 3
시
1분 52초(미동부
시
간) 자동차만한 탐사선이 울릉도 크기의 소행성 표면에 안착했다.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에 착륙한 것이다. 주인공은 미국의 소행성탐사선 니어-슈메이커. 니어-슈메이커가 안긴 소행성은 사랑의 신을 뜻하는 에로스였다.사실 니어-슈메이커는 착륙용으로 설계된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수 있는
시
기는 춘분을 전후한 저녁 서쪽하늘, 추분을 전후한 새벽 동쪽하늘이다. 왜 이
시
기에 잘 보일까. 황도가 다른 때에는 지평선에서 비스듬히 위치하지만 이때에는 지평선에 거의 수직으로 일어서기 때문이다. 3월 저녁하늘에서 황도가 지나가는 위치는 황소자리 부근이며 우리나라에서 볼 때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