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문
읍
도시
미문
가집
한시
타임
d라이브러리
"
시
"(으)로 총 4,773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날씨가 좋다면 매일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달. 흔히 보이기 때문에 관측하는데 소홀하기 쉽지만 맨눈이 아닌 쌍안경으로 본다면 흥미진진한 세계가 펼쳐진다. 지구의 ... 산맥을 자를듯이 어두운 줄기 모양으로 걸쳐 있기 때문에 상현이 돼 햇빛이 비치기
시
작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
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셀레라를 설립했다. 인간 게놈 해독을 위해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치열한 경쟁이
시
작된 것이다.2000년 다국적팀과 셀레라가 공동으로 인간게놈지도 초안을 발표했다. 식물게놈프로젝트의 첫 대상, 바로 양배추과에 속하는 애기장대의 전체 게놈이 해독됐다.인간의 전체 게놈지도가 다국적팀과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경험들이 애니메이션과 실사를 넘나드는 연출력을 탄생
시
킨 밑거름이 된다. 1995년 오
시
이 마모루는 그를 일본 재패니메이션의 대표주자로 전세계에 알린 사이버 펑크물의 대표작‘공각기동대’를 만든다. 그의 창작활동은 애니메이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실사영화, 소설, 만화원작, 게임 등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대해 ‘고려장’을 지낸다고 볼 수 있다. 이곳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이나 동남아
시
아에서 사용하다 수명이 다한 위성들이 버려져 있다.정지궤도에 있는 방송통신위성들은 마지막에 우주쓰레기장인 ‘고려장지’까지 이동할 추진제를 꼭 남겨두었다가 이곳까지 이동한 후 일생을 깨끗하게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일본에서 처음
시
작한 감성공학은 국내에도 일찍 알려져 이미 다른 선진국보다 빠르게
시
작됐다. 1995년
시
작한 G7 감성공학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미 ... 따라서 감성공학에 대한 연구에 앞서 감성에 대한 기초 연구, 즉 감성과학부터 다
시
시
작해야 한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감춰져 있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를 인식하고 그 특성에 따라 동
시
에 반응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투명성과 유연성을 통해 우리는 더욱 친숙해진 디지털 문명을 이루게 될 것이다. 마치 우리 인간생활 곳곳에 스며든 그 비트들이 이제는 디지털을 ... ...
바람계곡의 나우
시
카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액션과 활극을 보여준다.미래소년 코난제작/닛폰애니메이션, 1978년작/전26편NHK 최초의
시
리즈물로 미야자키가 처음으로 연출한 작품. 알렉산더 케이의 소설 '남겨진 사람들'을 개작해 과학의 발달에서 오는 지구의 암울한 미래상과 인간들의 다양한 모습을 그렸다.그 외 작품들루팡 3세 ... ...
멸종위기동물 복제
시
도 실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안전 하게 보호되는 최초의 멸종위기동물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가우어는 동남아
시
아산인 야생동물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사냥꾼의 표적이 되면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멸종위기동물의 세포를 보관하는‘냉동 동물원’의 설립자인 쿠르트 베니쉬케 박사는“노아는 복제기술이 종의 장벽을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
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천재와 인재가 끊이지 않은 사고일지미르가 1986년 2월에 발사된 이후 15년의 우주체류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는 무려 1천4백여건이 넘는다. 이중에는 미르의 노후 ... 추락이 예상되는 곳은 호주에서 동쪽으로 1천5백-2천㎞ 떨어진 남태평양상의 지점이다. 최종 추락
시
점은 3월초가 될 것이다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옆 차선으로 옮길 필요가 없다. 오히려 갑작스런 무리한 차선 변경은 교통 체증을 가중
시
킬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운전자가 이런 교통 흐름의 성질을 앎으로써 조금이나마 체증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