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좌지우지한 가장 중요한 원동력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생명이 지구의
환경
을 바꿨고, 그
환경
은 다시 생명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 생명과 지구의 공진화는 산소를 매개로 이뤄졌다.그렇다면 시아노박테리아가 처음 만들어낸 산소는 어디로 갔을까? 우리의 마지막 목적지에서 이때 만들어진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만든 뒤 배처럼 움직이게 할 거야. 이 인공섬으로 전세계 바다를 돌아다니면서 해양
환경
을 관찰하는 과학자가 될래. 친구들도 내가 만드는 ‘꿈의 섬’에 오고 싶지? 그때까지 조금만 기다려 줘~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번개사냥꾼이 몰고 온 트럭은 정말 우스꽝스럽게 생겼다. 두꺼운 갑옷을 입은 코뿔소 같았다. 머리에는 여러 안테나와 커다란 우산이 솟아 있었고, 내부에는 모니터가 가득했다.“폭우와 벼락을 따라다니려면 기본이죠. 주변 일기예보를 항상 주시하면서 비구름이 어디에 모이고 있는지 비가 얼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어렵다. 일본의 미래학자 미치오 카쿠는 저서 ‘마음의 미래’에서 “자의식이란 주변
환경
에 자신을 대입해 모형을 만들고, 이 모형의 미래를 시뮬레이션 해 목표를 성취하는 능력”이라며 “이 능력을 발휘하려면 다양한 사건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고도의 상식을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그 안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양도 적을뿐더러 환기구를 통해 바이러스가 살 수 없는 외부
환경
으로 빠져 나간다. 공기 전파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켰던 평택성모병원의 경우는 예외사례다. ‘하필’이 세 번이면 사고가 발생한다고 했던가. 하필 최초 환자가 그 병원에 입원했던 시기는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심각한 가뭄이 이어지고 있다. 이 역시 엘니뇨의 영향이 아닐까.국종성 포스텍
환경
공학부 교수는 “올 여름철 날씨는 엘니뇨와 상관관계가 크지 않다”고 일축했다. 통상 엘니뇨가 발달하면 여름에는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겨울에는 평년보다 포근한 가운데 폭설이 쏟아질 가능성이 크다. 엘니뇨가 ... ...
“건설
환경
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함께한 연구가 아니었다면, 이런 의미 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을 겁니다.Q 우리나라 건설
환경
공학이 나아갈 방향은인프라가 거의 다 지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 건설의 미래를 어둡게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무언가를 건설하는 게 건설업의 전부가 아닙니다. 오히려 지어진 건축물을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박사 연구팀은 신속하게 번개를 예측하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찾아내 지난 2014년 국제
환경
시스템과학공학컨퍼런스에서 발표했다.번개가 칠 때의 대기는 음전하와 양전하가 뒤섞여 있는 플라스마 상태다. 연구팀은 구름에 있던 전하가 땅으로 내려가려면 플라스마의 밀도가 크게 영향을 미칠 거라고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Presence)이라는 개념이었다. 사람이 물리적으로 한 장소나
환경
에 있으면서도 다른 장소나
환경
에 있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경험을 실재감(또는 현존감)이라고 부른다. 20여 년전부터 가상현실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학자들도 가상현실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실재감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띠고 있어 진입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밤낮으로 온도가 600℃씩 오르내리는 극한
환경
이다.메신저호는 이런 어려움을 이겨내고 4년 1개월 14일 동안 하루 두 차례씩 수성 주변을 돌면서 총 27만7000여 장의 사진을 촬영했다. 수성의 근접 사진 덕에 수성의 자기장과 표면의 금속 구성, 화산 분화 활동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