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도국이 필요한 자료 볼 수 있는 온라인 책장 만들었죠”
과학동아
l
2016.06.29
활용한 식품·산업적 적용 및 환경오염 복원'을 우수 사례로 꼽았다. 전자빔은 전자를
빛
의 속도로 가속시킨 것으로 물이나 음식을 살균하거나 산업소재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켜 유용한 물질로 만들 때,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분해해 환경을 복원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사업단은 전자빔을 산업에 ... ...
술에 비친 그림자만 보면 알코올 도수 안다?
2016.06.28
연구팀은 투명한 사각기둥 속에 원통형 저장 공간을 만들어 액체를 채운 뒤 사각기둥에
빛
을 비출 때 만들어지는 그림자를 이용해 굴절률을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 결과 액체 굴절률이 증가하면 그림자 너비가 감소했다. 반대로 굴절률이 감소하면 그림자 너비가 증가했다. 액체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오로라, 즉 적기(赤氣)는 고도 200km 이상에 있는 산소에서 나오는 파장 630나노미터의
빛
이다. 따라서 이보다 드문 백홍(白虹)은 태양의 활동이 예외적으로 강할 때 관측되는 현상일 것으로 저자들은 추측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같은 지역이고 천문기록 문화를 공유한 한국과 일본의 문헌도 ... ...
열적 평형 깨진 보손 입자 포착 성공
2016.06.26
갇혀 있는 모습을 순간 포착한 이미지가 담겼다. 불규칙한 모습으로 배열된 채
빛
을 내고 있는 점들은 각각 하나의 입자를 나타낸다. 이렇게 여러 개의 입자로 이뤄진 양자 시스템을 다체(多體) 양자 시스템이라 한다. 최재윤 독일 막스플랑크양자광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팀은 미국 ... ...
미국 캘리포니아, 달
빛
과 은하수
2016.06.25
아치 구멍 사이로 비치는 날은 일 년에 두 달인데도 실제로 촬영하기는 힘들다. 저무는 달
빛
이 통과하는 것은 일 년에 며칠뿐이다. 사진은 월몰 즉 달이 질 때를 기다려 어렵고 어렵게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 인내와 행운이 맺은 결실이다. 은하수까지 돌섬 위에 자리를 잡고 도와주었으니 큰 ... ...
새파란 랍스터 잡혀 ‘화제’
2016.06.25
해외 네티즌들은 “맛있겠다”는 상투적 반응 대신에 ‘경탄’의 댓글을 많이 썼다. 파란
빛
으로 감싸인 랍스터가 신비하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자연의 경이를 다시 경험했다고 쓴 네티즌들도 있다. 한편 파란색은 식욕을 떨어뜨리니 랍스터를 먹기보다는 다시 바다로 방생하라는 제안의 댓글도 ... ...
주기율표 113번 ‘니호늄’ 발견한 日 가속기 현장 가보니
2016.06.24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연구진은 빔 입자를 광속의 40%까지 가속한 뒤 여기서 나온
빛
을 금속이나 식물에 직접 쬐여 형질변환을 유도하는 실험에 한창이다. 자동차나 항공기용 정밀 부품 개발에 필요한 마모 실험도 진행 중이다. 중이온 빔을 쬐여준 금속 부품은 동위원소가 흡착돼 방사능을 띤다. ... ...
연필에 돌돌 말릴 정도로 얇은 태양전지 보셨나요
2016.06.21
말 수 있었다. 이 태양전지의 성능은 같은 방식으로 제작한 두꺼운 태양전지와 비슷해,
빛
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이 약 13%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일반적으로 전지가 얇을수록 구부릴 때 깨지기 쉽지만 이번에 돌돌 말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게 제작했다”며 “금속이나 섬유 위에도 부착할 수 ... ...
“암흑물질 탐색 중심에 있는 韓과 경쟁 대신 협력하겠다”
2016.06.20
이끌어온 대표 과학자 중 한 명이다. 암흑물질은 보통의 물질처럼 중력작용을 하지만
빛
은 내지 않아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질로, 보이지는 않지만 우주의 27%를 차지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가 은하 주위를 초속 약 200㎞의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데도 튕겨 나가지 않는 이유도 암흑물질의 ... ...
항생제로 세포 촬영 ‘찰칵’
2016.06.19
연구팀은 안과와 내과에서 사용하는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이란 항생제가 스스로
빛
을 내는 형광 특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이 항생제를 이용해 눈 뿐 아니라 피부, 소장, 방광 등 생체조직을 다광자현미경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형광물질이 없을 때는 초당 0.2프레임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