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85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유전학’ 치료 첫 임상시험 순항 중
2016.05.22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에 끼워 넣어 환자의 눈에 주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청색
빛
을 쪼이면 주변의 다른 세포(신경절세포)가 광수용체세포를 대신해 뇌에 전달할 시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쥐와 원숭이 등 동물실험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다. 연구진은 앞으로 2년 간 ... ...
문화재 복원 속에 숨은 과학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5.21
프롤로그를 포함해 총 5부로 구성되었습니다. 1부에서는 X선, 적외선, 자외선 등
빛
의 원리를 이용한 복원 사례를 비롯해 우리 문화재의 재료와 제작 기술을 엿볼 수 있었어요. 문화재지킴이 기자단은 특히 ‘전 정곤수 초상’에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X선 투과 조사를 통해 주인공과 제작 시기를 ... ...
이런 스승 또 없습니다…“노벨상은 뛰어난 제자들 덕분”
2016.05.20
개발한 공로로 201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초고해상도 현미경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빛
의 파장보다 더 작은 분자 하나까지 관찰할 수 있다. 머너 교수는 “형광현미경을 의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2~3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작은 세계를 ... ...
1889년 고흐의 방 진짜 벽 색깔은?
과학동아
l
2016.05.18
위해 진한 붉은색의 일종인 ‘카마인 레이크’ 물감을 다른 색과 섞어 사용했는데,
빛
에 민감한 카마인 레이크색이 바래면서 파란색만 남게 된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렇다면 고흐가 원래 색칠한 벽 색깔은 파란색과 분홍색을 섞은 자주색이 된다. 연구팀은 엑스레이로 물감이 어떻게 섞였는지 ... ...
햇
빛
만 받으면 충전 완료, 피부 밑에 넣는 태양전지 개발
2016.05.17
삽입해 실험한 결과 647μW(마이크로와트)의 전력을 생산했다. 하루 2시간 동안 태양전지를
빛
에 노출시키면 현재 상용화된 심박조율기를 24시간 구동할 수 있는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이 교수는 “사람의 피부는 쥐보다 두껍기 때문에 인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좀 더 넓은 면적의 유연 태양전지를 ... ...
코끼리주둥이고기의 어안 렌즈
과학동아
l
2016.05.16
네 배 이상
빛
에 민감했다. 기술적으로 렌즈를 바꾸거나 센서의 감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빛
에 대한 민감도를 높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행성 탐사나 복강경 수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이차원 나노 물질에서 전하 빨리 움직이는 이유 찾아
2016.05.16
양자역학적 중첩 효과 때문에 전하가 빠르게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이황화몰리브덴을
빛
으로 자극하면 활성화된 전자와 전자의 빈자리인 정공이 생기는데, 활성화된 전자는 그대로 머물지만 정공은 이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에 양자역학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다가 상대적으로 안정한 ... ...
즐거움을 만드는 과학!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13
교수님께 왜 이런 연구를 하시는지 여쭤 봤지요. 이 스노우보드는 압력에 따라 불
빛
이 켜져서 올바른 자세를 잡게 도와 줘요! - 정한길 기자 jhg1road@donga.com 제공 “이곳은 즐거움을 만드는 연구실이에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품을 만들고 이를 통해 과학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배울 ... ...
수면과 암기력, 무슨 관계인지 보니
2016.05.13
사실을 알아냈다고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13일자에 발표했다. 광유전학은
빛
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선택적으로 켜거나 끄는 기법이다. 연구진은 철로 된 바닥에 실험용 쥐를 넣은 뒤 소음을 발생시킨 후 바닥에 약한 전류를 흘려 전기 충격을 주는 식으로 공포 반응을 학습시켰다. 이후 쥐가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2016.05.12
은하의 숫자는 거의 1만개나 된다. 반면 별은 손에 꼽을 만한 개수뿐이다. 사방으로
빛
이 뻗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천체가 별이다. NASA의 과학자들은 고성능카메라(ACS)가 장착된 허블우주망원경을 화학로자리 방향의 ‘허공’을 향했다. 총 11.3일간 노출을 주면서 아무 것도 없을 것 같았던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