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닥"(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RNAP(RNA Polymerase)는 전사 과정에서 DNA 이중나선을 지나가면서 한가닥의 RNA를 만드는 효소다. 이때 RNAP가 RNA를 만들기 위해서는 힘이 필요하다. 이 힘을 재기 위해 과학자들은 먼저 RNAP를 유리 표면에 고정시켜 놓는다. 그리고 0.5㎛ 크기의 광학집게가 잡을 수 있는 입자를 DNA의 ...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놀라운 사실을 밝혔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문제는 왜 다발형태의 탄소나노튜브가 한가닥일 때는 도체이다가 다발로 있을 때는 반도체가 되는가 하는 것이었다. 그의 머리는 슈퍼컴퓨터와 함께 바쁘게 움직였다. 결국 그간의 모든 의문을 풀어줄 수 있는 ‘거울대칭성’(mirror symmetry)이란 개념이 ...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한 동심원을 그리고, 동심원을 24등분한 다음, 중심점에서 원주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24가닥의 종선을 준비해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모눈은 그림에서 눌린 꼴의 원이 4줄로 형성돼 있으므로 4줄x24칸=원형 벽돌 96개. 모든 원형 벽돌은 아래에서 올려봤을 때 정확한 비례로 눌려 보여야 한다.원을 ...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이 책은 500-513년 북위의 역도원이라는 학자가 저술했다. 여기에는‘방바닥 밑에 여러 가닥으로 돌을 괴고, 위에 진흙을 발라서, 불을 피워 여러 갈래로 열이 흘러 들어가게 해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는 구들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이외에도 중국 당나라 시대의 역사서인 ‘구당서’에도 구들에 ...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케이블의 총개수는 1백44개. 지름 18-28cm, 길이 55-2백30m에 이른다. 케이블 한개는 37-91가닥의 강연선(strand, 지름 15.7mm)이 한다발로 묶여진 형태다. 케이블은 주탑을 중심으로 마치 부채꼴 모양으로 좌우로 뻗어 있으면서 주탑과 상판을 서로 연결한다. 케이블 하나가 받는 힘은 3백60-8백50t 정도이다. 차량 ..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과학동아 l2000년 11호
- 내려진 케이블이 다리 상판을 연결하고 있다.케이블은 강철 여러개를 겹쳐서 만든 외가닥 또는 나선형 로프로 만들어져 있으며 중심 케이블의 지름이 0.92m에 달한다. 늘어나거나 당겨지는 힘(인장력)에 매우 강해서 38만t이 넘는 상판을 지탱할 수 있으며, 다리의 흔들림에도 유연하게 대처한다 ...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떨어져 있다는 것은 19세기부터 잘 알려져 있었지만, 자기장 속에서 그 선이 여러 가닥으로 쪼개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1897년 네덜란드의 제만이었고, 마찬가지로 전기장 속에서 스펙트럼 선이 여러 갈래로 나뉘는 쉬타르크 효과는 1913년에야 발견됐다. 고전양자이론(보어-좀머펠트 이론)으로는 ... ...
- DNA로 만든 바이오센서 개발 임박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문제가 발생하면 전자의 흐름이 막히는 효과가 나타난다.그러므로 새로 만들어진 M-DNA가닥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면 샘플 DNA의 이상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화학과 교수인 크라츠박사는 "M-DNA를 바이오센서에 응용하는 것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연구결과가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 ...
-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과학동아 l2000년 08호
- 제임스 왓슨과 30대 중반의 영국 물리학자 프랜시스 크릭이었다. 그들은 DNA가 두 가닥의 핵산이 서로 꼬여있는 나선형 사다리 구조를 갖고 있다는 획기적인 모형을 제안했다.1968년 출판된 왓슨의 ‘이중나선’(The Double Helix: A Personal 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Structure of DN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그럴 때면 번번이 혼비백산해 몸이 뒤로 넘어질 뻔했다. 한번은 12mm 직경의 쇠창살 한가닥이 휘고 쇠창살을 끼워 지지하는 철띠도 아래로 휘어졌을 정도였다.백두는 열흘을 넘기고서야 겨우 다시 먹었고, 그 후에도 자주 항식(抗食)을 하다 1963년 늙어 안락사로 명을 마쳤다. 그러나 끝내 필자를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