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d라이브러리
"
가닥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최고의 기호품' 인가 '마약'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황산을 첨가해 만드는 물질이다. 이를 재료로 한 필터는 지름이 대략 30-90㎛의 섬유
가닥
을 모아 만들며, 이때 각 섬유의 간격은 약 1백㎛ 정도다.이 필터 사이로 담배 연기가 브라운 운동을 통해 여과되면 기체로 빠져나가지 못한 0.1-1㎛ 크기의 니코틴, 타르, 미세 수분 등 입자상 분자(TPM : total ... ...
치밀한 설계 정교한 시공 거미줄의 미학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사실 거미집 만들기는 위에 묘사한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완성된 거미집의 실 한
가닥
이 잘려나가면 거미는 나선형 거미줄을 몇 번 도는 사이에 이 빈 공간을 보수한다. 만약 거미가 거리만을 근거로 거미집을 만든다면 거미줄에는 끝까지 구멍이 남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거미는 줄과 바퀴살 ... ...
3. 인터넷 주무르는 여성파워사이트11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성을 주제로 하고 있다는 것이 단적인 증거다.그러나 풀 한포기 나지 않는 황무지에도 한
가닥
희망이 있기 마련. 인터넷이 누구라도 글을 올리고 접근할 수 있는 개방공간이란 점은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또하나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같은 사실에 일찍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전류가 흘러 충격을 받을 수 있다.이러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2백20V용 도선은 세
가닥
으로 사용한다. 2백20V용 플러그에는 두개의 단자 외에도 위아래에 가늘고 긴 금속판이 있다. 이 금속판에 연결된 도선은 전기기구 몸체와 만나고 플러그쪽 닿는 부분을 따라가 보면 땅과 연결돼 있다. 2백2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필름에는 가느다란 틈새가 만들어진다. 여기에 빛을 쬐면 틈새의 양쪽에 희미한 줄무늬
가닥
을 볼 수 있다.(그림5) 빛이 회절한다는 성질이 밝혀짐으로써 입자설은 곤경에 빠졌다. 입자는 틈새를 그냥 통과할 뿐 퍼지지 않기 때문이다. 입자론 측은 곧 그럴듯한 설명을 만들어냈다. 빛 입자가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1천4백
가닥
씩 묶어 만드는데, 하나의 길이는 4.5m이며 최대 3배까지 늘어난다. 고무줄
가닥
수는 체중에 따라 4단계로 나뉜다.이에 따라 점프자는 번지코드의 길이 만큼인 4.5m를 자유낙하하고 그 다음부터는 고무줄의 탄력을 받으며 에어백 최상부 1m지점 부근까지 떨어진다. 일단 떨어지면 꼭대기에서 ... ...
2 왓슨과 크릭, 이중나선 구조 발견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발견되고 있다. DNA는 두개의 나선이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염기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한
가닥
나선의 염기서열을 알면 다른 나선의 염기서열도 알 수 있다.DNA의 이중나선 모형은 오랫동안 궁금한 문제였던 유전물질의 복제 메커니즘을 추측할 수 있게 해주었다. 왓슨과 크릭은 이 메커니즘을 DNA의 ... ...
3. 생체분자 3차원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하고 있는 구조라는 것을 밝혔다. 수소결합은 원자간의 약한 결합으로서 쉽게 끊어져 두
가닥
의 DNA 사슬이 서로 풀릴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각 사슬을 주형(鑄形)으로 하여 상보적인 사슬 하나가 각각 만들지면 두개의 동일한 2중나선이 생성된다. 이중의 하나가 자손에게 전달되므로 DNA의 유전 ... ...
1. 에볼라는 유행성 출혈열의 일종-사망률90%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RNA가 DNA로 바뀌는 바이러스를 레트로바이러스(retro, 역행한다는 뜻)라고 한다. 형성된 두
가닥
의 DNA는 핵 안으로 들어가서 세포 DNA에 끼어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바이러스의 삽입효소(integrase)가 작용한다. 그 결과 HIV DNA는 세포 유전물질과 구별할 수가 없어진다.이와같이 세포 DNA에 끼어들어간 HIV ... ...
PART3 차세대 항암제 택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않다가 세포분열의 중기에 염색체를 세포의 양극으로 끌고 가기 위해 형성되는 단백질의
가닥
이다. 튜뷸린(tubulin)이라는 단량체(monomer)의 단백질이 중합(polymerization)돼 형성되는 물질이다. 세포분열시 염색체가 끌려가기 위해서는 이 튜뷸린이 중합(polymerization) 되는 것 못지 않게 탈중합(depolymeriza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