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뽀삐
강쥐
걍쥐
d라이브러리
"
강아지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소개되면서 마치 제2의 로봇전성시대를 맞는 듯하다. 지난 6월 일본 소니사가 선보인
강아지
로봇 아이보(AIBO)는 마치 인간처럼 울고 웃고 화를 내는 감정을 지닌 로봇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대에 25만엔(한화로 약 2백50만원)이라는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예약을 시작한지 20분만에 3천대가 ... ...
투우사의 빨간 망토는 속임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털옷을 입히기도 하고, 빨갛고 파란 원색의 페인트로 개집을 새단장하기도 하지만
강아지
는 단지 연하고 짙은 회색과 밝은 녹색만을 구별한다. 서양 영화에서 가끔 주인과 개가 나란히 앉아 컬러 텔레비전을 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도 개는 주인과 달리 흑백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 셈이 된다.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이 두사람과 그들을 그리고 있는 화가를 담고 있는 거울이나 터럭 하나하나까지 묘사된
강아지
를 보면 반 아이크의 묘사력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알 수 있다.수증기와 먼지의 난반사반 아이크의 그림이 매우 사실적으로 보이는 이유는 단순히 그의 뛰어난 묘사력 때문만은 아니다. 반 아아크는 ... ...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시험하던 중 8.5등급인 작은 동반성을 발견하고 ‘
강아지
’(Pup)로 이름지었다. ‘
강아지
별’은 시리우스와 비슷한 표면온도를 가진 별임에도 10등급이나 더 어두워 시리우스 밝기의 1만분의 1에 불과하다. 크기는 천왕성이나 해왕성과 비슷한 작은 별로 추측된다. 그렇지만 질량은 태양과 비슷해서 이 ... ...
눈 오는 날
강아지
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풍광이 그 속에 있다.
강아지
들 또한 눈이 오면 팔짝팔짝 뛰면서 어쩔줄을 모른다.
강아지
가 눈 자체를 좋아해서라기 보다는 눈이 올 때의 세상 풍경이 이채롭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개들의 눈은, 녹색과 검은 회색은 일부 알아본다고 하지만, 거의 완전한 색맹이다. 망막에 명암을 구분하는 ... ...
Ⅱ. ①생리: 남녀 결정 두번에 걸쳐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있다. 최근에는 애완견의 성질을 온순하고 만들고 이성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 ‘
강아지
’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거세를 감행하기도 한다.또 유전적으로는 남성이지만 자신을 여성으로 생각하는 게이들은 에스트로겐을 규칙적으로 주사해 여성스런 몸매와 목소리를 가지려 한다. 나아가서 ... ...
꿈 길몽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평소에 시어머니가 몹시 못살게 대하면 꿈에서
강아지
때리는 꿈을 꾸는 식이다. 여기서
강아지
는 시허머니가 변형된 모습이다. 며느리 입장에서는 별다른 죄의식없이 꿈에서나마 스트레스를 해소한 셈이다. 이런 조절능력 때문에 처참한 꿈은 '순화된' 형태로 바뀌기 마련이다.그러나 ... ...
1. 전복껍질에서 탄생한 철갑탱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어느날
강아지
와 함께 산책을 마치고 집에 돌아온 조르주 드 메스트랄은 엉겅퀴 씨앗이
강아지
몸에 가득 붙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경험한, 드물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호기심 많은 그는 불평 대신 이 현상을 흥미있게 관찰했다. 그리고 엉겅퀴 씨앗의 갈고리가 개털 조직 ... ...
플라스틱소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옮겨 다니며 쉬지도 않고 먹어댔다. 그러면서 소는 손톱만한 크기에서 주먹만한 크기로,
강아지
만한 크기로 자라났다. 둘은 갑자기 불안해졌다.“너무 커지는 거 아냐?”“맞아. 그만 먹여야겠다.”꺽정이 소를 껴안자 소는 더 먹겠다고 몸부림쳤다. 소의 근육은 놀랄 만큼 탄력이 있었고 힘도 여간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잡혔다. 야간채집장에는 초청장없이 찾아온 다른 곤충들도 있었다. 천둥풍뎅이, 땅
강아지
등은 요즘 좀처럼 보기 힘든 것들이다. 특히 여왕개미가 등장해 짝짓기를 함으로써 대원들의 눈을 즐겁게 했다.지구상에는 20만종의 나비와 나방이 있다. 이중에서 18만여종이 나방이다. 나비연구보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