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뽀삐
강쥐
걍쥐
d라이브러리
"
강아지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대담함(?)을 선보였다. 그러나 그 실험환경은 잘 다듬어진 인공적 환경이었으므로 동네
강아지
들이 득실거리는 거리를 활보하기에는 무리였다. 이로부터 로봇에는 많은 기능이 첨부되기 시작한다. 비디오 카메라도 입체영상을 포착하기 위해 2개씩 달린다. 기동성을 최대로 강조한 로봇이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B로 알려진 백색왜성이다. 이것은 역사상 최초로 관측된 백색왜성이었다. 이것은 종종
강아지
라고 불리며 밝기는 8.5등급이고 표면 온도는 주성인 시리우스 A(우리가 시리우스라고 부르는 별)와 비슷하다. 그러나 시리우스 B의 관측은 시리우스 A의 밝기로 인해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두 별은 서로의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사는데 그만 먹을 것이 없어졌기 때문이다.그만큼 토양의 오염이 심해졌다. 따라서 땅
강아지
굼벵이 지렁이 등의 동물이 땅속을 파 들어가도 발견되지 않는다면 그 땅은 심한 오염에 의해 거의 죽어가고 있는 토양으로 판단할 수 있다.이렇게 토양이 죽어가면 거기에서 자라나는 풀을 먹는 소나 양, ... ...
파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평일이건 산책자들이 끊이지 않는다. 유모차를 밀고 나온 젊은 여자들, 예쁘게 치장한
강아지
를 산보시키는 노인들, 벤치 군데군데에서 책에 심취돼 있는 독서광들을 쉽게 볼 수 있다.튜일르리에서 주드봉박물관 방향으로 나오면 곧 콩고르드(Concorde)광장이다. 광장 중앙에는 샤를10세 때 ... ...
「특허의 상품화」 장애물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전혀 다른 제품이 나올 수도 있다."처음에는 고양이를 그렸는데 상품이 되다 보면
강아지
가 돼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얘기다. 이럴 때일수록 발명가는 새로운 제품에 전력투구해야됨에도 불구하고 '자기 것만 최고'라는 생각에 젖어 불행한 결과를 맞는다는 지적이다.또한 자신의 아이디어가 ... ...
푸른 목자의 카우 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생각해 본 것이다. 수의학과에 가면 동물들과도 자주 대할 수 있고 '누리'같이 귀여운
강아지
를 속수무책으로 죽게 내버려두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나의 고3생활은 여느 수험생과는 조금 달랐다. 싫어하는 공부도, 할 수 없이 하는 공부도 아니었기에 물론 시험 때는 공부를 했지만 ... ...
길엽초'신세 면하게 돼'길엽초'신세 면하게 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새로 발견한 미기록종 좀겨풀도 얼핏보면
강아지
풀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처음에는
강아지
풀인 줄 알고 그냥 무심코 지나쳤는데, 자세히 보니 뭔가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교수님께 보여 드렸어요. 금방 구별이 안되는 식물은 일단 채집했다가 나중에 도감도 보고 참고문헌도 찾아본 게 주효했어요 ... ...
PARTⅠ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사람이 벽 속으로부터 빠져나오면3차원 사람은 누구나 당황할 것이다. 또 보자기 속의
강아지
가 보자기를 풀지도 않았는데 밖으로 나왔다면 3차원세계 사람들은 이를 요술이라고 단정한다.하지만 4차원세계에서는 이런 일이 모두 가능하다. 적절한 예일지도 모르지만 일부 비행사들은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여행하고 돌아온 최초의 생물체가 되었다. 우주개 '벨카'는 그후 결혼, 6마리의 귀여운
강아지
를 낳아 화제를 뿌리기도 했다.미국에서도 이 무렵 생물체의 우주환경적응 실험과 유인 우주비행용 우주선의 기능실험이 계획 되었다. 그후 원숭이를 실은 우주선이 몇차례 발사되었는데 단순한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한다. 반면 사람의 갓난아기는 그러한 운동면에서는 뒤늦은 것 같아 보인다.
강아지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뜨기도 전에 발발 기어다니고 사슴새끼는 가늘고 긴 다리를 일으켜 세워 허느적거리며 걸어다닌다.그렇다면 사람의 신생아는 그에 해당하는 능력이 없는가? 갓 태어난 아기를 자세히 ... ...
이전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