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결정되는 반면 안토시아닌은 가을이 되면 나무가 새롭게 만들어내는 색소다. 세포 내에 당이 많을수록 많이 합성된다. 때문에 햇빛이 많고 강수량이 많은(광합성이 잘 일어날 조건) 해에 단풍이 더욱 붉게 물든다.월동준비에 전력을 다해도 바쁠 때에 굳이 에너지를 사용해가며 안토시아닌을 만드는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얕은곳에 있는 것도 있다.●입과 입술 주변 : 입꼬리내림근, 아랫입술내림근, 입꼬리당김근, 턱끝근, 큰광대근, 작은광대근, 윗입술콧방울올림근, 입꼬리올림근, 윗입술올림근, 입둘레근, 볼근, 광경근이 있다. 이 근육들은 입을 둘러싸고 있는데 각기 다른 모양과 뱡향, 세기로 힘을 가해 입꼬리를 ...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담당하는 단백질SGLT-1에 흡수되는데, SGLT-1 단백질 속에 있는 단맛 수용체 T1R2, T1R3가 포도당을 감지한다.➏~➓ 지방 수용체내장에는 지방산을 감지하는 여러 수용체가 있다. 설탕을 먹으면 뇌에서 도파민을 분비해 감정을 조절하는 측좌핵과 기타 보상 중추가 자극을 받아 기쁨을 느끼는데, 지방도 이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 분석은 국가과학자와 노벨상 수상자 일부의 본인 중심네트워크를 비교했기 때문에 해당 분야 전체를 대변하지는 않는다. 또 이들의 논문 정보가 일부 누락됐을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교수 또는 연구책임자가 되기 이전 논문을 게시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노벨상 수상자보다 사회적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거대한 돔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워크숍 당일 참가자들이 직접 마당에 모여 뢸로프스가 개발한 레오나르도 돔을 만들었어요. 시작한 지 10여 분 만에 사람 몇 명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한 돔이 완성됐어요.돔 구조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오각형과 육각형등 다른 도형을 섞어 만들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뇌피질이 없는 곤충은 주관적 경험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의식이 없는 존재가 돼버린다. 당연히 꿀맛도 느낄 수 없다.실제로 인간의 의식이 두뇌의 어느 부위에서 비롯되는 지는 아직 논쟁거리다. 전통적으로는 대뇌피질에서 나온다는 가설이 우세하다. 그런데 뇌의 80% 이상이 손상돼 대뇌피질이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영상을 봤기 때문에 현실감이 좀 떨어졌었죠. 선수들이 자신의 경기영상을 보면서 그 당시의 상황에 몰입하면, 현재 측정 중인 자신의 뇌파를 바탕으로 심리상태가 어떤지가 동시에 화면에 나타납니다. 그러면 선수들은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안정적인 심리 상태인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 ...
- 온 몸이 느끼는 맛 이야기 1. 혀에서 느끼는 5가지 맛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맛은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과 이온 성분을 알려주고, 독성은 피하게끔 하는 신호로 진화했다. 특히 설탕이나 과당, 탄수화물 등 단맛 물질은 다른 맛 물질에 비해 수용체와 결합하는 능력이 상당히 약하다. 단맛에 질리는 시간을 최대한 늦춰서 우리 몸이 당을 최대한 많이 먹도록 하기 위해서다.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돼지의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막에는 특이한 당이 존재한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는 이 당에 대한 항체를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난다(자연항체). 때문에 돼지의 혈관이 연결된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게 되면 초급성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 빠르면 수분 이내에, 길어도 수 시간 이내에 이식된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다(1파트).1단계 영양분 분해우리가 에너지를 만들 때 땔감으로 쓰는 것은 지방과 당이다. 먹을 때는 엄연히 다른 영양소지만 에너지를 만들 때는 탄소 세 개로 이뤄진 피루빈산이라는 작은 분자로 쪼개진다.2단계 TCA 회로를 돌려라피루빈산은 미토콘드리아로 옮겨져 TCA 회로의 재료로 쓰인다. TCA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