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일일까요? 환경부에서 발표한 ‘야생동물 서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제비는 2001년에 1㎢ 당 평균 30.5마리가 살고 있을 것으로 파악됐지만 2014년엔 26.3마리로 줄었어요. 전문가들은 그 이유를 도시화와 농약 사용으로 보고 있어요.제비가 우리나라에서 둥지를 짓고 살아가기 위해선 처마가 긴 주택과 ... ...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만들 수 있다.대변을 제공한 사람에게는 ‘꿀’이라는 경제적 보상이 주어진다. 대변 200g당 10꿀을 주는데, 3000원의 가치를 지닌다. 교내 커피숍 등에서 3000원짜리 음료를 마시거나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조 교수는 “단순히 수세식 화장실의 물을 아끼는 것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 건설비와 ... ...
- [과학뉴스] ‘해충 퇴치!’ 달콤한 피 흘리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 중에는 해충을 공격하는 개미가 세 종류 이상 포함돼 있었다. 이런 개미들은 공격당한 식물을 자주 찾아갔고, 정상적인 잎보다 상처 입은 잎 위에서 세 배가량 더 오래 머물렀다. 상처 입은 잎에서 흘러나온 용액을 정상 잎에 떨어뜨리자, 정상 잎도 해충에 의한 피해가 50% 이상 감소했다. 용액의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특이한 글리코실화 패턴을 확인했다(doi: 10.1126/science.aaf5316). 글리코실화는 아미노산 외에 당 성분이 단백질에 추가로 붙는 것을 의미하는데, 바이러스는 이 부위를 숙주 세포에 결합하는 닻으로 활용하곤 한다. 유괴범이 달콤한 사탕으로 순진한 아이들을 유인하는 수법과 비슷하다.네이처에 연구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유전자의 기본 단위인 뉴클레오티드에 이상이 생겨 나타난다. 뉴클레오티드는 당과 인산, 그리고 염기로 구성된 것으로, DNA 사슬의 기본 구성단위다. 염기는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네 종류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배열돼 있다. 사람의 유전자는 네 종류의 염기 약 30억 쌍이 일정한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매일 먹는 청산가리의 양은 몸무게가 비슷한 일반 원숭이 기준 치사량의 12배에 해당한다. 이렇게 독한 음식을 어떻게 소화시키고 독성을 배출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유구한 세월 동안 황금대나무여우원숭이와 대나무가 공진화를 해왔을 거라고 추측할 뿐이다.현재 지구상의 모든 살아있는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원하는 환경에서만 특정 대사를 하는 생물을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산소 농도, 당 농도, 온도, pH와 같은 환경요소를 입력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첼로는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고 밝혔다. 입력 값을 받는 건 환경요소에 따라 발현이 결정되는 유전자다. 예컨대 산소가 높고(input A=1),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비를 지원할 때, 일정 부분은 반드시 인건비에 투자하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한 사람 당 인건비 하한선도 잘 지켜져야 하고요. 한국은 아직도 가능한 싼 임금으로 많은 노동력을 투입해 결과를 뽑는 방식에 익숙합니다. 대학원생에게 밤새 고민해 문제를 풀어오라고 시키죠. 막스플랑크연구회는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처음부터 끝까지 설계한 사례기 때문이다. 합성생물학이 처음 등장한 2000년대 초반부터 당 분해 같은 하나의 기능을 하는 유전자 모음인 오페론 수준의 설계는 있어왔지만 유전자 전체, 게놈 단위의 설계는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이승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합성연구센터장은 이를 ‘서고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황련, 세균(슈도모나스 박테리아), 설치류의 유전자 총 21개를 합성한 뒤 효모에 삽입해 당을 테바인으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테바인은 모르핀의 핵심 전구체로 여기에 두 개의 아세틸기를 결합하면 강력한 진통제 성분인 헤로인을 만들 수 있다.만약 이런 합성효모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