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변
배설물
거름
비료
분비물
변
낙하물
d라이브러리
"
똥
"(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촉촉한
똥
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흔적(식흔)뿐만 아니라 주변에 떨어진 배설물을 보고 찾을 수 있다. 물기 있는 촉촉한
똥
은 100%다. 산누에나방과, 솔나방과나 박각시과 같은 대형종의 애벌레 배설물은 지름이 7~10mm나 된다. 배설물은 애벌레가 살고 있다는 분명한 표식이므로 주의를 기울이면 애벌레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명주실로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어땠을까?당시 사람들은 화장실이 발달하지 않아 길에 볼일을 봤다. 길거리는 언제나
똥
과 오줌으로 넘쳐 났고배설물에 있는 독성으로 인해 전염병이 돌아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이에 커밍은 변기에서 악취를 없앨 방법을 연구하던 중 1775년 트랩을 고안한 것이다. 커밍이 고안한 트랩은 현재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야생 개코원숭이 다섯 집단을 9년에 걸쳐 연구했다.이들은 다 자란 수컷 원숭이 125마리의
똥
을 수거해 그 속에 포함된 스트레스호르몬(글루코코티코이드)과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의 수치를 분석해 기록했다. 그 결과 서열이 낮아질수록 스트레스호르몬의 수치는 올라가고 남성호르몬의 수치는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똥
빨간
똥
노란
똥
나무들이 눈
똥
을새들이 맛있게 먹는다작품설명 | 열매를 나무가 누는
똥
으로 표현한 참신한 시입니다. 우리의 눈에 익숙한 자연물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쓴 시인데 버찌, 앵두, 살구 같은 둥근 모양의 열매를 통해 ‘구’의 개념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우리가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사는 박테리아들의 균형이 무너진 환자의 장에 남편의
똥
을 넣는 치료를 했단다. 남편의
똥
속에 있는 박테리아들이 균형을 되찾아 준 거야. 어때? 이만 하면 우리를 친구라고 불러도 되지 않을까?*항생제 : 박테리아를 죽이는 약. 잠깐! 충수 속으로 꼭꼭 숨어라!많은 사람들이 맹장이라고 부르는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종령에서는 많이 커져 더 이상 새
똥
위장으로는 속이기 어렵다. 그래서 5령은 돌연 새
똥
의 모양에서 크고 밝은 녹색의 몸체에 거무스름한 뱀의 눈을 갖게된다. 가짜인 뱀의 눈이 통하지 않을 경우 방어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냄새뿔로 적극적 방어를 한다. 거의 10cm 이상인 크기로 눈에 잘 띄면서도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짜놓은 듯 만들어놓은 배설물 안에 재가 섞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곳곳에서 지렁이
똥
을 모아 조사했다. 거기에 든 흙은 땅속에 있는 흙과 구성성분이 같았다. 다윈은 지렁이가 땅속에 있는 흙을 먹고 지표면에 올라와 배설을 하며, 그 결과 해마다 0.25~0.6cm씩 새로운 흙층이 생긴다는 결론을 ... ...
별별 2011 토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하지만 아직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묽은
똥
은 24%가단백질이기 때문에 영양 보충을 위해
똥
을 눈 뒤 바로 먹어치운답니다.귀몸에 땀구멍이 없는 토끼는 커다란 귀로 몸의 열을 밖으로 내보내요. 또한 길고 커다란 귀는 작은 소리도 잘 들을 수 있지요. 토끼의 귀는 예민하기 때문에 함부로 만지거나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점도가 높다 보니 잉크가 알 주변에 조금씩 묻어 있다가 한꺼번에 흘러 나와 ‘볼펜
똥
’을 만들기도 한다.수성볼펜은 점도가 낮은 잉크가 들어 있어 글씨가 부드럽게 써진다. 알이 구를 때 마찰이 적어서 알을 더 작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잉크가 흘러나오거나 손에 묻는 일이 생길 수있다 ... ...
고래‘
똥
’은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톤으로, 이는 강이 옮겨 주는 질소의 양보다 훨씬 많다고 밝혔답니다. 지난 5월에는 고래
똥
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줄여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어요. 어때요? 고래
똥
, 이만하면 바다의 보물이라고 할 만하죠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