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정
자시
다섯
haut
hauts
Eau
물
d라이브러리
"
오
"(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 사진들을 모아 해양 생물 도감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조혜린 학생은 “
오
기 전까지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았는데, 연구원들과 나눴던 대화나 실습들이 진로 결정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강동진 기지대장은 “여기 온 학생들에게 해양 과학이 무엇인지를 느끼게 해주는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읽어보았다. 글의 제목은 ‘지금 당장 모자를 벗어라!’였다.모자를 벗고 거리로 나
오
라!지구 문명을 단절시키고 우리를 세뇌했던 적들은 모자를 벗을 수 없다. 모자를 벗고 거리로 나와 모자를 쓴 사람들을 죽이자!더 이상 세뇌되기 전에 그들을 죽이고 지구를 되찾자!니샤는 단말기에서 눈을 떼고 ... ...
Part 3. 수술부터 공포증까지, VR 치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진행할 수 있거든요.실제로 지난해 12월, 폴란드 바르샤바심장학연구소의 막시밀리안
오
폴스키 교수팀은 가상현실로 심장 수술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가상현실을 볼 수 있는 ‘구글 글래스’를 쓰고 환자의 심장을 3D로 촬영한 영상을 가상현실로 띄웠어요. 실제 심장을 구석구석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사람은 그렇게 못 하기때문이다. 실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내미생물 연구를 하고 있는
오
범조 교수도 공감했다. 그는 연구 과정에서 가장 힘든 점을 꼽으라는 질문에 “실험 기간 동안 환자들의 식이를 통제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뿐만 아니라 장내미생물 변화를 더 잘 보기 위해 무균 쥐를 많이 ... ...
PART 3. 선수들의 드라마에 주목하라!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있다. 우리 선수들이 올림픽만 바라보며 흘린 값진 땀방울만큼 좋은 결실을 맺고 돌아
오
길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리우 올림픽 즐기는 세 가지 방법PART 1. 누가 누가 잘할까? 미리 알아보는 올림픽 순위PART 2. 올림픽 속 수학 찾기!PART 3. 선수들의 드라마에 주목하라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말했다. 심지어 기상1호 자체에서 나
오
는 매연도
오
차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매연이 나
오
는 연통은 배의 뒷부분에 있는데, 배가 움직일 때는 매연이 바람에 씻겨 관측에 지장이 없다. 그래서 관측은 꼭 배가 움직일 때만 한다.“가장 문제는 배가 막 움직이기 시작할 때예요. 매연이 아직 주변에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살린 연구임용된 지 2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이미 눈에 띄는 성과가 많다. 지난해에 ‘
오
스탬퍼’라는 이름의 메모 부착 도구 디자인으로 ‘201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콘셉트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한 데 이어, 올해 2월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품 디자인으로 ‘IF 디자인 어워드 2016’에서 제품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
상록 KIST 박사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
상록 KIST 박사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달리기를 하면 걷거나 가만히 있을 때보다 같은 시간 안에 더 많은 시각 정보가 뇌로 들어
오
기 때문에 뇌의 반응성이 높아진 거였죠.연구팀은 2014년 다시 한 번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어요. 이번에는 쥐의 한쪽 눈을 약시로 만든 뒤, 3주간 하루 4시간씩 달리기를 하도록 해 시각을 자극한 거예요. ... ...
[재미] 마왕의 탑 5화_
오
일러의 한붓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도착하게 돼요.”“그렇게 잘 아는데 왜 여기를 못 빠져나가고 있는 거예요?”단이 묻자
오
일러가 머리를 쥐어뜯으며 대답했다.“마왕이 내 머리에 무슨 짓을 한 건지 이상하게 다리를 건너려고만 하면 머리가 텅 비어버려요! 제발 누가 나 대신 좀 풀어줬으면…, 흑.”단이 앞으로 나섰다.“제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