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왠지 걱정됐거든요. 기숙사 밖으로 나가자 오로라는 뭔가를 골똘히 보고 있었어요.“오로라! 너 뭘 보고 있는 거야?”“히익! 깜짝이야! 너 왜 나왔어? 나 지금 목성 보고 있잖아!”“아~, 별 보는구나!“별 아니거든? 행성이거든!”“별이 아니라고? 하늘에서 반짝이면 다 별 아냐?”비주얼 과학 개념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못하고 먼저 자리를 떴다. 세면대에서 장화와 손을 빡빡 씻고 긴 터널 같은 출구를 빠져나오고 나서야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었다. 얼마 뒤 성 씨도 작업을 마치고 나왔다. “힘들죠? 저도 처음 몇 달은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쳐다도 못봤어요. 몇 번이나 그만둘까 생각했습니다.” 다시 옷을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들었다. 아주 오랜만에, 그의 발바닥이 땅으로부터 바람이 지나갈 만큼 아주 조금 떠오르고, 죽음과 그 사이에 우주만 한 작은 진공이 생겼다.“좋아했니?”마침내 그가 물었다.“괜찮았고?”“아 선생님, 지금 너무 ‘선생님’ 같아요.”소금이 열 살 소녀처럼 웃더니, 뒤의 질문에 먼저 답했다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분위기를 작가에게 전했다. 그의 조언은 현실적이었다. “한국 사람들이 일본의 방사능 오염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정부나 기관이 발표하는 수치를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람들이 원하는 건 정치적으로 독립된 기관에서 측정한 정확한 방사능 수치 정보입니다. 당연한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왜행성 하우메아와 관련된 일화다. 발표 전 잘못된 정보가 돌아 실제 중요한 정보는 오히려 묻혀버렸다. 칼텍의 마이클 브라운 교수가 자신의 발견이 곡해되고 있어 매우 슬프다고 토로했을 정도다. 발표가 확정되기 전 루머가 돌면 그동안 노력했던 연구진들이 허탈해지기 마련이다. ‘피지컬 리뷰 ... ...
- [소프트웨어] 정다각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오개념 탈출, 정다각형정다각형과 관련해서 헷갈리는 내용을 문제로 출제했습니다. 2번과 5번만 틀렸고 나머지는 맞습니다. 흔히 정다각형을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도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마름모는 안쪽 각의 크기가 모두 같지 않아 정다각형이 아닙니다. ... ...
- [재미] 파이송 작곡 도전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사람이 아닌 그 음악을 듣는 사람이 주인이라는 말이 있다. 작곡자의 손을 떠난 음악은 오롯이 듣는 사람의 것이다. 나름대로 많은 고민의 결과물인 파이송이 좋게 들리기를 바라며 도전기를 마친다.도움 : 박형민(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The GITA(작곡가), 최나봄(가이드 보컬)참고 서적 : 존 M. ... ...
- [Tech & Fun] 좀비 아이들도 채소가 맛있대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하면서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바로 프랑스 문화지요.” 인류가 남긴 가장 오래된 이야기인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도 행복을 묻는 질문에 현인은 ‘친구들과 맛있는 식사를 하라’고 말한답니다. 미각교육은 바로 함께 먹는 즐거움과 행복을 제대로 누리는 법을 배우는 게 아닐까요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뤄져 있습니다. 수분을 흡수했을 때 팽창하는 층과 그렇지 않은 층이 있어 수분이 들어오면 한쪽 방향만 팽창해 휘면서 저절로 꼬이게 됩니다. 씨앗이 든 이병을 다시 보세요. 꼬리가 다 풀렸죠?이차연 오~. 정말 다 풀렸네요! 이런 로봇은 어디에 응용할 수 있나요?김호영 이 원리를 이용하되 회전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실을 최근 확인했다. 저수지 수심 3m 지점에 담가놓은 칼에서는 7일 이후부터 미생물 오염으로 지문이 선명하게 검출되지 않은 반면 증류수는 14일까지 문제없이 잘 보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PART 2. 물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