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도구(Tool) 수준이다. 노코드 툴은 그동안 웹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 개발 분야에서
주로
발전했다. 코딩 없이 마우스 클릭만으로 쉽고 빠르게 웹이나 앱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준다. 최근에는 한 단계 더 도약했다. 코드를 학습시켜 다양한 분야에서 코딩을 도와줄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한 것이다. 2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3990건이었다.강남은 또 잠겼다. 남북으로 짧고 동서로 긴 비구름 탓에 서울의 비 피해는
주로
한강 남쪽 지역에 집중됐다. 특히 강남역 주변 지역의 경우, 주변보다 지대가 17m 이상 낮은 ‘항아리 지형’이다. 이 때문에 2010년부터 12년간 다섯 번 침수돼 상습침수구역으로 꼽힌다.8월 8일 저녁에는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미국에서 진행하는 연구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남 교수는 “중국 연구팀에서는
주로
새로운 긴 비암호화 RNA를 찾는 수준의 연구를, 미국 연구팀에서는 그중 중요한 긴 비암호화 RNA의 기능과 활용법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중국 연구팀의 논문이 압도적으로 ... ...
[특집] 모스큘라를 피하려면 모기 예보를 보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속한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님 연구실은 동물의 생태를 연구하는 곳입니다. 저는
주로
모기를 연구하는데요. 2018년부터 저희 연구실과 서울시가 협력해 진행하는 모기 예보제의 실무를 맡았습니다. 매일 모기 개체 수를 예측해 모기 발생 단계를 안내하고 매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계산식을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있는데요. 산술기하부등식은 수학에서 정말 많이 사용하는 부등식으로,
주로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보조정리로 사용해요. 산술기하부등식을 3단계에 걸쳐 증명해 보세요 ... ...
[과학뉴스] 단백질 구조 2억 개 품은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자리잡았다.하지만 단백질 구조 분석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에는
주로
X선 회절이나 초저온전자현미경 등을 활용했는데, 이 방법으로는 단백질 하나의 3차원 구조를 알아내기까지 최소 몇 달에서 최대 몇 년이 걸렸다. 알파폴드는 이 과정을 단축했다. 아미노산 서열만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행복이란 무엇인가?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주의 근원은 무엇인가? 이런 생각을
주로
하지요.”무럭무럭 행성의 나무들은 타고난 철학자인 모양이었습니다. 해롱 선장이 딱지를 잡아끌며 말했습니다.“에..., 한시가 급하니 저희는 바로 출동하겠습니다.” 해롱 호는 곧바로 혜성의 위치를 향해 ... ...
통계로 보는 필즈상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분야가 있어요. 지금껏 필즈상은 대수기하학과 정수론, 해석학을 연구하는 분들이
주로
수상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허준이 교수의 수상으로 조합론 분야에서 처음으로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습니다. [ICM 강연] 수상자 중 무려 60명이나 수상 전 ICM에서 강연자로 초청됐어요. ICM에서는 수학 분야를 1 ... ...
[IMU 아바쿠스상 인터뷰] “여러 분야를 연결해 깨달음을 주는 과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과 연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혼자만의 시간에는
주로
체스를 두거나 책을 읽는다고 하네요. 수학을 도구로 쓰는 컴퓨터과학자는 하루에 몇 시간이나 연구할까요? 브레이버먼 교수는 하루에 5, 6시간 이상 연구하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교수의 역할은 연구에만 ...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시스템반도체는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처럼 정보를 처리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반도체다. 한국은 작은 시장에서 거인이다. 한국은 전체 반도체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메모리반도체 영역에서 20년간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대표적인 메모리반도체인 D램 시장에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