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숫자로 보는 휴대전화의 역사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네트워크까지 스마트폰과 수학이 아주 가깝다는 것을 알게 됐나요? 저도 소개하면서깜
짝
놀랐답니다. 그런데 우리는 언제부터 휴대전화를 썼을까요? 휴대전화의 역사는 고작 100년도 되지 않았습니다. 엄청난 속도로 휴대전화가 발전한 것이지요. 이제 마지막으로 휴대전화의 역사를 살펴보기로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있다. 이 방법은 아주 우연히 가능하다. 먼저 잘 계획된 ‘시간여행자-반시간여행자’
짝
이 수천 개의 수소폭탄에너지에서 생성돼야 한다. 반대 되는 성질의 두 시간여행자는 원자수준까지 정확히 복제돼야 한다. 반시간여행자는 시간을 뒤로 여행하고, 시간여행자는 앞으로 여행한다. 그리고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러시아 제외)에서 가장 큰 규모다. 에메랄드 색 맑은 물빛은 한낮의 햇빛을 받아 더욱 반
짝
이며 자태를 뽐냈다. 멀리 보이는 알프스에서 내려온 바람도 호수 빛을 닮아 싱그러웠다.[➊ 프랑스 대체에너지 및 원자력위원회(CEA)의 피에르 레그란 박사. ➋ 캐서린 카스텔로 HUPO 회장의 모습. ➌ 마이클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노란색 수컷이 기지개를 켠다.이 녀석들은 주황색 수컷의 영역을 돌아다니며 몰래
짝
짓기를 한다. 다시 원점으로 온 셈이다. 1990년대 중반 미국 인디아나대 생물학과의 리블리 교수팀은 이런 관계를 처음 발견해 가위바위보의 관계가 실제 생태계에 존재함을 증명했다. 연구자들은 “관찰결과 6년을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병에 많이 쓰이는 물질’이다. 이 뜻만 가지고 보면 ‘밥을 먹는다’라는 부분과
짝
지을 수 없다. 유리를 ‘glass’로 ‘밥을 먹는다’를 ‘eat rice’로 번역하면 영 어색한 문장이 돼 버리는 것이다. 실제로 구글 번역에 넣어 보면 ‘The glass eats rice’라고 나온다. 하지만 한국인은 이 문장을 보고 ... ...
너무 화려한 수컷 공작은 싫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안녕하세요! 암컷 공작들은 어떤 수컷 공작을 좋아 하나요?암컷 공작이 커다란 꼬리 깃털을 가진 수컷 공작을 좋아한다는 건 오해예요. 캐나다 퀸스대학교 다킨박사팀이 야 ... 보여 주는 거죠. 우리 암컷 공작들은 이런 모습을 비교해 건강하지 못한 수컷은
짝
으로 선택하지 않는답니다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짝
을 지어 각
짝
이 한 번씩 옮긴 것이 제2행이고, 거기서 중간의 네 명이 둘씩 두 쌍의
짝
을 지어 역시 한 번씩 옮긴 것이 제 3행입니다. 그렇게 총 18번 진행된 것입니다. 뭔가 전체의 폭이 점점 넓어지면서 또한 점점 산만해지는 것 같지만, 그렇다고 안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자주 없는 것도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홀
짝
홀
짝
…홀
짝
’을 번갈아 반복한다. 따라서, 어느 경우에나 자릿수의 합의 홀
짝
이 맞지 않는 항이 10개씩 5묶음으로 딱 50개가 있으므로, 적어도 이 50개의 수는 제 위치에있을 수 없다. 따라서, 제자리에 놓이는 항은 50개가 최대이다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 ②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아니, 그가 말을 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네요.”허풍의 묘한 말에 도형을 포함한 모두는 깜
짝
놀라 허풍을 바라본다.★ 살인미수사건의 범인“용의자 3명이 가지고 있던 이 은색 물건을 자세히 보니 자신의 이름이 아닌 제삼자의 이름이 쓰여 있더군요. 그리고 결정적인 단서는 바로 이 퍼즐 ... ...
“돼지각막 2, 3년 뒤 영장류에 이식”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람의 A유전자를 갖고 있는 돼지와 B유전자를 갖고 있는 돼지를
짝
지우면 새끼 중에는 A와 B 유전자 모두 갖고 있는 것들이 생긴다. 이런 식으로 필요한 모든 유전자를 갖고 있는, 즉 거부반응이 거의 사라진 돼지를 태어나게 하는 것이다.“장기이식 하면 콩팥이나 심장을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