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또는 그 반대로) 바뀌는 경우다. 자음과 모음 구별에 온 신경을 쓰다가 갑자기 홀수와
짝
수로 기준이 바뀌자 상당히 당황스럽다. ‘2k’이란 신호에 움찔하다가(시간 지연) 그만 ‘F’ 버튼(글자라면 맞지만 숫자라면 틀리다)을 누른다.과제전환은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몸의 무늬까지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게 천천히 춤추듯 난다. 느긋하게 날면서
짝
을 찾고 꽃을 빨며 뒷날 새끼가 먹을 식물도 꼼꼼히 찾아다닌다. 이와 같은 비행방법은 체내에 독을 갖고 있는 이들만이 누리는 특권이다. ‘나풀나풀 날다’라는 어원에서 출발한 ‘나비’의 원초적 뜻을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37.1%로 가장 높고 그 다음부터 완만히 떨어진다.] [조합과 확률을 이용해 최고의
짝
을 찾는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 블로그. QRooQroo와 같은 스마트폰 앱으로 QR코드를 읽으면 된다.]그렇다면 몇 명을 만나본 뒤에 선택해야 최적의 상대를 얻을 수 있을까. 최댓값은 37번째로 37.1%가 나왔다. 즉 ... ...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우주가 팽창하는 정도를 알면 암흑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1a형 초신성은 백색왜성이
짝
을 이루는 거성으로부터 물질을 받다가 일정한 질량을 넘어 폭발하면서 생긴다. 밝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은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지표가 된다.거리가 멀수록 겉보기 밝기가 어두워지는 점을 이용하면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필자도 애벌레를 채집하기 위해 산에 올랐다가 숨어 있던 가지나방 애벌레를 만지고 감
짝
놀란 적이 많다. 산속에서 나뭇가지라고 생각해 손으로 잡았을 때 ‘물컹’하는 느낌에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조팝나무가 먹이식물이다. 종령 애벌레의 몸길이는 40mm 내외. 나뭇가지처럼 서있을 때는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셋 이상이 놀이를 할 때는 둘의 협력에 따라 승부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따라서 둘씩
짝
을 이루거나 꼴찌에게 가혹한 벌점을 줘 모두가 최선을 다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프 이론윷놀이 말판이나 지하철 노선도처럼 점과 선으로 이뤄진 형태를 수학에서는 특별히 그래프 이론으로 다룬다. ... ...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3702종이라는 얘기다. 지금껏 곤충 연구는 어른벌레(성충)에 집중됐다. 사실 어른벌레는
짝
을 찾아 번식을 하고 더 살기 좋은 곳을 찾아 이주하는 짧은 시기일 뿐이다. 하지만 어른벌레와 달리 애벌레에 관해서는 정확한 분류나 정보가 거의 없다. 모르기 때문에 ‘해충’ 편견 생겨필자는 강원도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년전 공룡을 잡아먹었던 포유류의 화석이 네이처에 소개되면서 전세계 공룡학자들을 깜
짝
놀라게 했다. 그 주인공은 호주 태즈메니아데블과 비슷한 ‘레페노마무스 로부스투스’! 이 화석의 위장이 위치한 부분에서 새끼 프시타코사우루스의 뼈화석이 함께 발견되었던 것이다. 이로써 당시의 ... ...
날아라~, 수리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짝짝짝
~!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헬기를 만들었어요. 바로 ‘수리온’이랍니다. 독수리를 뜻하는 ‘수리’에 완전하다는 뜻의 ‘온’을 합쳐 만든 순 우리말 이름이지요.비행기는 보통 앞으로 날아요. 하지만 수리온은 마치 게가 걸어가듯 옆으로도 날고, 전갈처럼 뒤로도 날아요. 스키를 타는 것처럼 ... ...
영화 오션스의 주인공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서로를 포식자로부터 지켜 주는 거죠. 게다가 케이프가넷은 수가 많을 수록
짝
을 잘 찾아
짝
짓기에 성공할 수 있답니다. “오~, 다들 너무 판타스틱해! 모두 합격이야!올해는 유네스코가 정한 생물다양성의 해야. 하지만 지금도 상어들은 매년 수백 마리씩 사람들의 한 끼 식사를 위해 지느러미만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