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프뉴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해저터널 열렸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1.5km 더 길어요. 보령 해저터널은 바다 밑바닥으로부터 최대 55m 아래, 해수면(바닷물의
표면
)으로부터는 최대 80m 아래를 지나가요. 바닷물이 절대 들어오지 못하도록 40cm 두께의 단단한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있지요. 그동안 보령시의 항구 대천항에서 출발해 태안군에 있는 섬 안면도까지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석학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최근에는 빛의 굴절률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메타
표면
’과 이를 응용하는 소자 연구에 주력해 왔다. 이 분야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시대를 가속화할 안경형 기기의 필수 기술로 꼽히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3월에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수준인 선글라스 형태의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이를 마이크로미터 수준에서 확실하게 확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착륙하는 과정에서
표면
토양 구조는 무너져 내릴 확률이 높다. 착륙 지점에서 조금 떨어진 곳을 관측해야 한다. 이를 위해 그레인캠스의 임무에는 로버가 수반돼야 한다. 심 선임연구원은 “그레인캠스 임무에 국내에서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막을 방법은 없었다. 상대는 확실히 죽으려고 작정했는지 결코 좁지 않은 다온 행성
표면
에서 정확히 구소 마을을 노리고 직진했다. 장만은 적란운의 발생을 더 이상 추적하지 않았고 둑의 완성 시간도 계산하지 않았다. 모든 게 끝이었다. 다온인 사망자는 600명을 훨씬 넘길 게 분명했다. 그들은 ... ...
[시사 과학]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중 32개의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어요.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
의 스파이크 단백질 모양이 바뀌면, 원래의 스파이크 단백질 모양에 알맞게 만들어진 항체는 변이 바이러스와 결합하기 어려워집니다. 그러면 이미 항체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다시 코로나19에 감염될 ... ...
우주 유망 직종 TOP4 짚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추후 식물공장을 설립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여기에는 달
표면
복사의 복합적인 영향 아래에서 식물 발아와 성장을 조사하기 위한 장비가 담겼습니다. 이 착륙선은 지난해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회사의 재정문제로 잠정 연기된 상태입니다.일본에서도 스페이스 ... ...
[과학 뉴스] 반짝반짝 글리터, 식물로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주재료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입니다. 셀룰로오스로 만든 나노결정은
표면
이 울퉁불퉁한 덕에 여러 빛깔을 반사하는 구조색●을 띠게 돼요. 공작의 깃털이나 CD 뒷면의 알록달록한 무늬가 구조색의 대표적인 예지요.연구팀은 먼저 목재 펄프에서 셀룰로오스를 추출했어요. 추출한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용암동굴에서 어떻게 석회동굴 생성물이 자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낮습니다. 그 때문에 쉽게 먼 곳까지 흐르죠. 용암이 흐르다 보면 차가운 대기와 닿은
표면
부터 식어 딱딱하게 굳습니다. 한편 안쪽 용암은 계속 암석이 녹은 액체 상태로 바다로 흘러요. 용암이 다 흐르면 용암이 흐르던 통로만 빈 곳으로 남아 용암동굴이 만들어지는 겁니다. 그래서 용암동굴에서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반가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단, 지구에서처럼 산소가 기체 형태로 존재하진 않고, 달
표면
을 덮고 있는 미세한 모래와 먼지층인 ‘레골리스’ 속에 들어있습니다. 레골리스의 약 45%가 산소로 이뤄져 있어요. 흙 속의 산소를 어떻게 추출하냐고요? 영상이 답을 알려줄 거예요. 달걀의 반전 ... ...
[헷갈린 과학] 미끌미끌 미끄러워 미꾸라지 VS 미꾸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처럼 관련된 속담도 많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죠. 몸
표면
에서 점액을 분비해 미끄러운 탓에 ‘미꾸라지’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어요.다 자라면 몸길이가 약 15~20cm인 미꾸라지는 입 근처에 다섯 쌍의 수염이 나 있어요. 길쭉한 몸과 수염 때문에 옛날 사람들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