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밑바닥
평지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뉴스
"
평면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입체적인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게 최 교수의 계획이다. 그래핀 스피커는 종이처럼 생긴
평면
스피커다. 그래핀에 전류를 흘리면 열이 발생하고, 전류를 없애면 금방 식는다. 그래핀에서 발생하는 열이 주변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열음향(Thermo-Acoustic)’이 그래핀 스피커의 핵심 원리다. ... ...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0.5mm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5.07.15
않는 것은 물론 근육의 수축 정도가 줄어들고 박동 속도도 느려졌다. 실험용 배지에
평면
으로 배양된 심장세포만 이용해서는 얻어내기 어려운 결과다. 두 번째 오가노이드는 치료용으로 활용된다. 연구팀은 “훼손되거나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장기에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오가노이드를 이식해 ... ...
커피전문점 들어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충전
2015.07.07
이 기술을 이용하면 어떤 방향에서도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실험 결과 1㎡에
평면
형 송신기 1대를 설치하면 스마트폰에 1와트(W)씩 30대, 노트북에 2.4W씩 5대에 무선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 또 독자 개발한 자기장 차폐기술을 적용해 자기장 수치를 국제 자기장 안전기준 이하로 낮추는 데도 ... ...
전기 잘 통하는 ‘나노시트’ 얼음으로 만들었다
2015.07.07
진행돼 왔다. 하지만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같은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2차원
평면
형태로 얇게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이렇게 만들기 어려웠다. 얼음 위에 전도성 고분자를 떨어뜨려 나노시트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 - 포스텍 제공 연구진은 폴리아닐린을 얼음 위에 뿌려주면 ... ...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개발
2015.06.16
이용해서 반금속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래핀 나노리본이란 2차원
평면
형태의 그래핀을 리본 모양으로 잘라낸 것을 말한다. 연구진은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해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의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계산한 결과 두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 나노리본의 ... ...
[제주]‘제주의 신비’ 드론이 담아낸다
동아일보
l
2015.06.12
“백록담 분화구 북벽이 무너져 내린다는 기사를 보고 촬영을 결심했다. 백록담 모습을
평면
적 사진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생생하게 보여 주겠다. 앞으로 정기적으로 촬영해 결과물을 연구 자료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드론은 무인 헬기처럼 무선으로 조종하지만 비행 성능과 조종이 훨씬 쉽고 ... ...
[미래를 듣는다 10] “SW 중심사회에 맞는 새로운 대응 필요”
2015.05.25
세분류인 인공지능은 기초적 성격도 강하고 실용도 활발한 분야입니다. 전통적인
평면
적 분류에 매달리지 않았으면 합니다.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사용 비중을 볼 때 ICT 쪽으로 치우친다는 표현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 ...
이렇게 얇을 수가! 원자 5개 두께 반도체 소자 개발
2015.04.28
주목받는 이황화몰리브덴은 원자 한 층 두께로 2차원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자가
평면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현재 쓰이는 3차원 반도체 소재보다 전하 이동 속도가 빨라 초고속 고성능 메모리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이황화몰리브덴과 다른 물질을 덧붙여 ... ...
‘꿈의 물질’ 2개 합쳤더니 고효율 광센서가 ‘뙇’!
2015.04.14
광센서보다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탄소가 벌집구조를 이루는 2차원
평면
소재인 그래핀의 투명한 성질을 이용해 양자점과 융합한 다이오드를 만들어 광센서에 적용해 기존 센서와 효율은 같으면서도 가시강관과 같이 짧은 파장의 빛에도 반응하는 향상된 광센서를 개발했다. ... ...
작은 불씨가 숲을 태울 확률은?
수학동아
l
2015.03.26
산불은 산 전체로 1982년 미국 코넬대 수학과 해리 케스텐 교수는 이와 같은 2차원
평면
위에 산불이 난 경우에 불이 산 전체로 퍼지기 시작하는 p값이 1/2임을 증명했다. 산이 무한히 넓다고 가정하고 산불의 진행 방향과 규모를 분석하면, 확률 p값이 클수록 피해를 입는 범위가 컸다. 그런데 p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