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스페셜
"
흡수
"(으)로 총 4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DNA 삽입 효율 한층 높아진 유전자 교정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성공했다”며 “CAST는 80%의 유전자 빈도로 대장균 유전체의 타켓 지점에 DNA를
흡수
시켰다”고 설명했다. 유전자 빈도는 하나의 특정 집단 존재하는 각각의 대립유전자가 나타날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크리스퍼 카스 시스템의 기능적 다양함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수 있다. 따라서 장에 엑텔라 렌타가 많이 살 경우 디곡신이 대부분 분해돼 장벽을 통해
흡수
되는 양은 훨씬 적어 약효를 제대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실제 20명의 분변을 채취해 얻은 장내미생물을 배양한 뒤 디곡신을 넣어 분해되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 디곡신 분해력이 약한 6명의 평균은 13%인 반면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온 먼지가 빙하 위에 쌓였습니다. 어두운 색깔의 먼지가 햇볕을
흡수
하면서 얼음이 녹았고, 마침내 외치가 두 독일인 등반객 앞에 모습을 드러난 것입니다. 슬프지만, 이런 사고 때문에 외치의 몸은 빙하 속에서 온전히 보존되었습니다. 그리고 반만년의 세월이 지나 다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과학자 한 명이 제자를 길러 또 다른 과학자를 교육하는 제도는, 대학과 대학원으로
흡수
되었다. 하지만 실험실에서 과학자가 배출되는 과정에도 여전히 17세기의 도제관계가 반영되어 있다. 교수의 영향력은 막강하며, 교수는 실험실이라는 폐쇄적인 환경에서 제자에게 저항할 수 없는 권력으로 ... ...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교수와 허윤현(오른쪽)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골 형성 및
흡수
장애를 조절해 골다공증을 막는 치료타켓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지구온난화가 영구동토 붕괴 부른다
2019.05.28
이에 따르면 땅이 서서히 녹는 지역에서는 토양에서 방출한 양과 식물이 자라면서
흡수
한 양이 비슷해 이산화탄소의 순 방출량은 미미하지만 갑작스럽게 녹은 열카르스트 호수에서는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메탄의 방출량도 꽤 된다. 북반구 영구동토를 보여주는 지도로 중심이 북극이다. 빨리 ... ...
BBC 선정 지구와 당신에게 좋은 미래 '수퍼푸드' 다섯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5.19
한다.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이 풍부해 신체의 면역계에 필요한 아연
흡수
와 새로운 혈관 성장을 돕는다. 갑상선 기능 조절과 면역계를 튼튼하게 하는 셀레늄도 풍부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숲속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생물군을 뜻하는 말로, 숲 생태계 기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식물의 영양분 및 탄소
흡수
와 기후변화 대처 능력에 대한 영향을 준다. 어떤 공생체가 서식하는지를 파악하면 숲 생태계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카비르 피이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숲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둠 속에서 색을 구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2
감지하고, 간상세포는 어두울 때 빛을 감지하는 용도다. 두 세포에는 빛의 특정 파장을
흡수
해 뇌가 색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신호로 바꾸는 스위치인 단백질(옵신)이 들어있다. 광수용체 세포에서 발현되는 옵신 DNA의 수와 유형에 따라 동물이 감지하는 색상의 수가 결정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품첨가제로 만든 3D프린팅 인공장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광
흡수
제로 쓰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노란식품염료 5번을 광
흡수
제로 사용해 폐를 만들었다. 그 결과 3D프린팅을 통해 만들어진 폐는 실제로 혈액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기도 하며 기능적인 능력을 입증했다. 또 이 인공 폐를 만성적인 간 손상을 입은 쥐에게 이식해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