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중력 이론’을 발표했다. 하지만 호킹은 그 이론을 계산했을 때 질량과 관성질량이 모두 음(-)인 물체가 생긴다는 점을 지적했다. 관성질량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생기는 가속도의 특성을 규정하는 상수를 말하는데, 물체마다 고유한 값을 가진다. 물질과 반대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완벽한 이론도 없지. 만약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를 모두 젊고 건강한 세포로 바꾸면 노화를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정수 남매: 사람을 포함해 눈에 보이는 동식물은 대부분 세포 여러 개로 이뤄진 다세포 생물인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점 기능이 떨어지는 세포와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017년 5월 10일,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모두가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책임까지 있었습니다.” 말구아르 교수는 이 노트를 계속 보관하다가 2017년 5월 10일,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모 아니면 도인 성격의 소유자, 그로텐디크 말구아르 교수는 그로텐디크가 극단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며칠 동안 굶다가도 무언가 한 가지를 꼭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다른 수학자와 주고받은 편지도 공개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직 그 수학자들의 동의를 모두 얻지 못해 게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노트를 이해하게 되면 대수기하학의 판도가 바뀌거나, 새로운 수학 분야가 생길 수도 있는 건가요?말구아르: 네 물론입니다. 영향을 끼칠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 ...
- Part 2. 재료를 준비하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서울밤도깨비야시장도 매주 이틀만 운영한다. 다음날 장사할 곳이 없으면 남는 재료는 모두 버려야 한다. 둘째, 수요★가 불확실하다. ‘대략 100개’처럼 수요를 예측해서 준비해야 한다. 수요★고기마니와 같은 재화를 일정한 가격에 사려고 하는 욕구. 고기마니의 수요량이란 사람들이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목소리는 관현악의 반주를 뚫고 청중의 귀에 들리지요. 소리꾼과 성악가의 소리 모두 중간 높이 음역이 핵심이지만 차이는 있습니다. 서양의 성악은 공명을 이용하고, 판소리는 생목을 이용합니다. 그래서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은 평소 목소리가 곧 판소리를 할 때 목소리인 반면 성악가는 평소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돕는 데 충실할 겁니다.” 충격적인 뉴스가 신세계 호를 강타했다.지난 20년 가까이 모두 마고에게 속고 있었다는 민다인 박사의 폭로는 우주선 전체를 떠들썩 하게 만들었다. 당장 마고를 폐기처분해야 한다는 감정적인 여론도 많았지만, 신세계 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마고가 꼭 필요했다. 결국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아프리카 여행을 갔는데, 거기서 정말 신기한 광경을 목격했어~. 높은 나무 꼭대 ...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앞으로 우리의 똥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까지 모두 주의 깊게 관찰해 주세요! 그럼 이만 안녕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mucosospermus ) 세 종류로 나뉘지요.우리가 평소에 먹는 수박은 불가리스에 속해요. 모두 같은 조상에게서 유래했지만, 불가리스만 단맛이 나서 사람들이 식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했거든요. 나머지 두 종류는 단맛보다 쓴맛이 강해서 주로 씨앗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나 가축 사료용으로 길러져 왔답니다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