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없다는 것이다. 이상 반응이 생길 경우에는 보상도 받을 수 있다. 피내용과 경피용 모두 이상 반응으로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이 30만원이 넘을 때에는 신고를 하면 심의를 거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신고 기관이 다르다. 피내용의 경우 보건소와 예방접종도우미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뒤, 경로를 계획하고, 장애물을 피해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기능을 로봇 한 대가 모두 수행하려면 여러 종류의 값비싼 센서와 카메라, 컴퓨터를 장착해야 한다. 네이버랩스는 지도 제작을 담당하는 로봇을 따로 두고, 그 로봇이 만들어 놓은 지도를 ‘맵 클라우드(map cloud)’라고 부르는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 명암의 변화가 클수록 숫자는 커진다. 윤 책임연구원은 “명암이 달라지는 부분을 모두 추출하면 눈꺼풀이나 입술선 등 윤곽선뿐만 아니라 점이나 주름 등 작은 형태도 찾아낼 수 있다”며 “지금까지 이런 원리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한 사람의 얼굴에서 추출할 수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중력 이론’을 발표했다. 하지만 호킹은 그 이론을 계산했을 때 질량과 관성질량이 모두 음(-)인 물체가 생긴다는 점을 지적했다. 관성질량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생기는 가속도의 특성을 규정하는 상수를 말하는데, 물체마다 고유한 값을 가진다. 물질과 반대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017년 5월 10일,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모두가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책임까지 있었습니다.” 말구아르 교수는 이 노트를 계속 보관하다가 2017년 5월 10일,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모 아니면 도인 성격의 소유자, 그로텐디크 말구아르 교수는 그로텐디크가 극단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며칠 동안 굶다가도 무언가 한 가지를 꼭 ...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yaku)’라는 이름을 붙였어요.이 개구리는 ‘유리개구리’의 일종이에요. 유리개구리들은 모두 투명한 피부를 가지고 있어요. 등과 다리의 위쪽 부분은 일반 개구리처럼 녹색이지만, 배 쪽의 피부는 투명하지요.하지만 하이알리노베트라키움 야쿠는 배뿐만 아니라 가슴까지 전체적으로 투명해서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아프리카 여행을 갔는데, 거기서 정말 신기한 광경을 목격했어~. 높은 나무 꼭대 ...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앞으로 우리의 똥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까지 모두 주의 깊게 관찰해 주세요! 그럼 이만 안녕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높은 동물이 모두 공격성을 띠는 것은 아니다. 서열이 높다고 아래 서열의 동종 동물들을 모두 공격했다면, 이미 그 종은 멸종했을 것이다. ‘나쁜’ 개가 아니라 ‘아픈’ 개일 수도개가 사람과 함께 살게 된 지는 1만 년이 훨씬 넘었다. 그 긴 시간을 거치며 개는 사람의 삶에 도움을 주는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직도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고 기술적인 한계도 분명히 있다. 기술을 개발할수록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가고, 수많은 실종 어린이들이 가족의 품 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에 힘을 얻고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