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허긴스가 천문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18세 때 15파운드를 주고 산 소형 천체망원경
덕분
이었다. 인생의 반려자, 천문학 동반자그는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은 뒤에도 천문학의 꿈을 버리지 못해 30세가 넘어서자 개인천문대를 세우고 관측을 시작했다. 그야말로 아마추어 천문가로서 관측에 ... ...
기술이 과학의 진보를 이끌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잔 다르크가 노련한 영국군을 물리칠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정답은 대포라는 신기술
덕분
이다. 잔 다르크는 전장에 포를 설치하는 능력이 특히 뛰어났다고 한다. 당시 활과 석궁으로 무장했던 영국군은 대포의 활약 앞에 속수무책이었다. 여기서 유래한 ‘잔 다르크 신드롬’은 신기술이 등장하면 ... ...
옛날에는 가장 중요한 가정용품이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우리나라의 전통 화로
덕분
에 추위를 이겨 낼 수 있게 되었네요. 화로는 선사 시대부터 우리 민족이 사용한 유래 깊은 유물이에요. 수천 년의 세월 동안 가정의 필수품이었지요. 언뜻 생각하기에는 단순한 난방 도구로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사실 화로는 가정에서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가정 ... ...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말티톨이나 이소파라피니톨 같은 당알코올은 입안에 오래 남지 않는 산뜻한 단맛
덕분
에 사탕을 만드는데 쓰인다. 삼양제넥스 전분당연구소 박성원 연구원은“당알코올류는 수분을 붙잡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당알코올 사탕은 보통 개별 포장해 공기를 차단한다”고 설명한다.)“당알코올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한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과학잡지로 자리잡았다. 모두 독자들이 보내준 과분한 사랑
덕분
이다. 창간 20주년을 맞아 과학동아가 걸어온 길을 주요 기사를 중심으로 되돌아본다. 1996~1990 한국인 특집으로 시작한 창간호과학동아는 동아일보사가 ‘문화주의’라는 사시에 맞춰 과학잡지 창간을 ... ...
우리도 과학의 오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904년노벨상을 받고,이후‘조건 반사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은 우리 개들
덕분
이었어. 파블로프 박사는 우리에게 밥을 줄 때마다 종을 울렸어. 밥을 본 개들은 군침을 흘렸겠지. 그런데 어느 날 박사님은 종소리만 울리고 밥을 안주는 거야. 그랬더니 종소리만 듣고도 개들이 침을 마구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암을 치료하는 바이러스를 ‘암 백신’이라고 한다. 바이러스의 끈질긴 증식 능력
덕분
에 암 백신은 암이 재발하더라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다국적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머크(Merck)는 인간유두종바이러스(HPV)의 감염을 억제하는 백신 개발에 성공해 현재 임상실험을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천체를 관측하며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우주 이야기에 밤새는 줄 몰랐으니까. 그의 노력
덕분
에 1979년에는 ‘제1회 한일 친선 별 관측대회’가 4박 5일 일정으로 국내에서 열리기도 했다.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한 뒤에도 아마추어 천문학에 대한 그의 열정은 식지 않았다. 1991년 그는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생생히 관전할 수 있었다.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이 TV 수준의 화질을 구현하게 된
덕분
이다. 그러나 아직 거리 곳곳의 많은 전광판에선 붉은색, 노란색, 녹색만 나온다. 빛의 3원색 가운데 푸른색을 내는 LED가 1993년 가장 늦게 개발됐기 때문이다. 푸른색 LED는 다른 LED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수명도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기능들을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인간게놈 정보
덕분
에 이제는 유전자의 기능을 좀더 총제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됐다. 즉 뇌의 기능, 뇌질환을 일으키거나 억제하는 유전자 등을 게놈 차원에서 발견해내는 게 가능해졌다. 뇌 속 단백질이 치매의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