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서 교수팀은 모든 테스트를 완벽하게 마친 후 부품을 남극에 보내는 전략을 세웠다.
덕분
에 11월경 남극에 도착해 불과 2주 내에 준비를 끝내고 적시에 풍선을 띄워 올릴 수 있었다.“사실 무척 번거로운 작업이에요. 하지만 가장 신속하고 경제적인 방법이기도 해요. NASA가 풍선을 매년 열심히 띄워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보내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수십억 개 신경세포로 이뤄져 있는 정교한 뇌 속 네트워크
덕분
에 우리는 생각하고, 움직이고, 말할 수 있다. 신경세포 사이의 미세한 공간인 시냅스 안에서 화학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은 몇 밀리초(1/1000초) 동안에 일어난다.과학 일러스트레이터인 존슨은 뇌조직을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서울대 천문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김삼 연구원은 한국과학재단 해외공동연구지원사업
덕분
에 지난해 6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 넘게 CFHT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11월부터는제미니천문대에서 송 박사와 함께 연구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사람과 기체가 혼연 일체가 됐을 때 가장 빛을 발한다.고도의 기술과 아기자기함
덕분
에 블랙이글은 어디서나 인기몰이 행진을 계속한다고.항공기술의 새 장을 연다이밖에도 이번 전시회엔 국내외 225개 항공기 방위산업체들이 첨단레이더와 공중조기경보체계, 무인기, 무인장갑차를 선보였다. T-5 ... ...
교육의 꿈을 실현하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여학생들에게 용기를 주고 격려가 되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그가 아버지와 언니
덕분
에 수학자로서 행복을 얻은 것처럼, 이제 후배들이 그의 행운을 함께 나눌수 있도록 ... ...
수천개 은하들 무리에 뛰어들어 초속 600km로 날아가는 우주 화살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가스 및 은하들과 상호작용으로 비틀려 화살촉 모양이 됐다고 설명한다. 이런 상호작용
덕분
에 가스가 뭉쳐 새 별들이 탄생할 수 있게 해준다. 은하에서 파랗게 빛나는 별들이 새로 태어난 별이다.현재 우주 화살은 수천개의 은하들이 드문드문 모여 있는 ‘화학로자리 은하단’으로 득달같이 ... ...
벼룩 닮은 슈퍼 고무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자기 키의 수십 배나 높이 뛰거나 작은 매미가 귀를 찢는 큰 소리를 내는 것도 이 단백질
덕분
이다. 레실린은 40년전 잠자리 날개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인간이 만든 어떤 고무보다 잘 늘어나고 탄성이 좋다.연구팀은 2001년 초파리의 DNA에서 발견된 레실린 유전자를 대장균에 삽입해 실험실에서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놀랄 만한 제7기 과학해결사들의 잠수함. 떴다 가라앉기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잠수함
덕분
에 장보고 일행은 세눈마신을 무사히 따돌릴 수 있었어. 세눈마신이 바다 밑으로 내려갔을 때는 이미 장보고 일행을 태운 잠수함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는 중이었지. 장보고의 잠재력을 막아 역사를 ... ...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태풍의 눈에서 약하고 우측에서 강하게 나타났다.바다에 띄운 측정장비 1966개인공위성
덕분
에 소용돌이, 한류와 난류를 비롯해 다양한 바다의 표정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과거에는 상상도 못했던 극지방 해빙의 분포도 이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런데 인공위성 정보는 모두 해수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생명체가 지구에서 ‘가장 효율적인’ 광합성을 하게 된 것도 이 같은 찰나의 반응
덕분
이다.순식간에 일어나는 이런 현상은 아무리 두 눈을 치켜 떠도 볼 수 없다. 대신 김 교수 옆에는 ‘펨토초 레이저’가 있다. 이 레이저는 찰나를 볼 수 있게 하는 마법의 거울이다. 김 교수는 “식물의 찰나를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