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하마의 똥, 아프리카의 강을 오염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덤비는 포식자가 없기 때문이지. 일리: 너희가 물을 더럽힌다니 어떻게 된 거야?하마: 미국 예일대학교의 수생 생태학자 크리스토퍼 듀톤박사는 아프리카 동부의 마라강에서 죽은 물고기들이 둥둥 떠오른 모습을 목격했어. 강 주변을 관찰하던 그는 곧 하마가 수질 오염의 범인이라고 생각하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녹색 피가 도마뱀의 생존에 도움을 주는건지 궁금해 했어요. 그러다 지난 5월 16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 자연과학박물관의 진화생물학자 자카리 로드리게스 연구팀은 녹색 피가 흐르는 도마뱀 7종의 유전자를 분석해, 녹색 피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서로 다른 조상에서 비롯됐다는 걸 ... ...
- [과학뉴스] 생명의 흔적일까? 화성에서 유기화합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행성, 화성에는 과연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요?지난 6월 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화성에서 활동 중인 무인탐사 로봇 ‘큐리오시티’가 유기화합물 분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유기화합물’은 탄소 원자를 기본 뼈대로 가진 화학물질을 뜻해요. 지금까지 NASA의 과학자들은 화성에서 ... ...
- Part 1. 한반도, 정말 아열대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심지어 한반도 기후가 아열대화 되고 있다는 보도도 계속됐답니다. 정말 일까요? 미국의 기후학자 트레와다는 ‘월평균 기온이 10℃를 넘는 시기가 1년 중 8개월을 넘는 기후’를 아열대라고 불렀어요.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현재 제주도와 한반도 남쪽 일부 지역만 아열대 기후에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조사하고 기록하는 탐사 활동이에요. 우리 주변의 생물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1996년 미국에서 시작된 이후 전세계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번이 9번째랍니다. 이번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5명을 포함해 일반인과 전문가 총 470명이 탐사에 참여했어요. 올해 바이오블리츠의 가장 큰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북한은 이 실험을 위해 마련했던 장소를 없앤 거예요.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요. 미국 최고의 핵과학자로 꼽히는 스탠퍼드대학교 국제안보협력센터 지그프리드 헤커 교수는 지난 5월 28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과정이 약 9~16년 걸릴 것으로 내다봤어요. 가장 먼저 핵 프로그램을 ... ...
- [과학뉴스] 무선 곤충 로봇 ‘로보플라이’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미국 워싱턴대학교 소이어 풀러 교수팀이 무선으로 움직이는 초소형 곤충 로봇 ‘로보플라이’를 개발했어요. 이쑤시개보다 약간 무거운 이 로봇은 전선 없이 레이저로 동력을 전달 받아요. 레이저를 로보플라이에 쏘면, 로봇 안의 광전지가 이를 전기로 변환해 그 힘으로 날개를 퍼덕여 ... ...
- [가상인터뷰] 곰팡이를 재배해 먹는 개미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잘 키울 수 있어요. 그래서 가위개미들이 더 번성할 수 있었다는 거지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라이스대학교 스콧 솔로몬 교수는 “가위개미가 곰팡이를 재배하는 방식에 번성의 비밀이 숨어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연구 중”이라고 말했답니다 ... ...
- 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어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모나자이트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을 만드는 것도 논의하고 있어요. 2014년 미국원자력안전위원회는 방사성 물질이 있는 “음이온 제품은 모두 버리라”고 조언했어요. 건강효과는 확실하지 않은 반면, 방사선이 나오는 건 분명하기 때문이지요. 전문가들은 의료를 목적으로 하는 엑스레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진핵생물이랍니다. 그러면 진핵생물은 어떻게 원핵생물에서 진화했을까요? 1967년, 미국의 생물학자 린 마굴리스는 ‘원핵생물들이 서로 합쳐져 공생하면서 진핵생물로 진화했다’는 ‘세포 내 공생설’을 제안했어요. 커다란 원핵생물이 작은 원핵생물을 잡아먹었는데, 세포 속에서 소화가 되지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