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어떻게 성별을 결정했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다만 다른 생물의 모습으로 미루어
볼
때 수정란 발생 초기 산성도나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도 악어나 거북 등 일부 파충류가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된다.시간이 흘러 드디어 성 염색체인 Y가 등장한다. Y 염색체가 처음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먼저 통과했을 가능성이 없으니까요. 연구팀도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런 행동을
볼
때, 코끼리가 가족 구성원이 누구인지, 또 자신의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 안다는 의미로 해석했지요. 추가로 분석한 결과, 코끼리는 최대 30마리의 가족 구성원이 사라진 것도 소변 냄새로 알 수 있다고 합니다.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ISEE-3호의 정보를 공개했다. 화려한 3D 그래픽과 반응형 브라우저로 ISEE-3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7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친구를 이곳에서 직접 만나보자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개의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매우 정교한 정육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었다. 장소세포에서는
볼
수 없던 격자무늬다. 모세르 부부는 이 세포를 격자세포라고 이름 지었다. 정육각형 모양의 격자세포 신호패턴은 수학적으로 매우 흥미롭다. 실제로 벌집은 정육각형이 붙여진 모양인데, 이는 최소한의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웃으며 손을 저었다. 외국인은 정원 외로 뽑기 때문에, 한국 학생들이 손해
볼
일은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한국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점이 많다. 카이스트 홍보대사 ‘카이누리’ 회장인 윤종완(전기및전자공학과 2년)씨는 “외국 학생들의 적극성을 본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학생들은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집중력이 향상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단다.칼로리 소비가 늘어나요독일 프란츠
볼
하르트 임상연구센터의 미카엘 보쉬만 박사 연구팀이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물을 마신 뒤 칼로리 소비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험을 했어.그 결과 물을 마신 후 10분이 지나자 칼로리가 소모되는 비율인 ‘대사율’이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큐리오시티’의 실제 크기 모형까지 우주에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만지고
볼
수 있답니다. 입체 영상이 360도로 펼쳐지는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년이 채 지나지 않았어요.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해가 19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없다. 따라서 그 해답은 암호에서 찾고 있다. 해킹으로 고급 정보를 빼갔다 하더라도
볼
수 없게 만들면 해커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기 때문이다. 또 디도스 공격을 했을 때는 서버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도록 암호화해 막을 수 있다.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암호는 RSA 암호다. 스마트폰부터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핵심이 눈, 코, 이마 사이의 간격을 파악한다는 데 착안해 화장으로 양 눈의 간격을 알아
볼
수 없게 한 것이다.이제 얼굴을 우리 눈으로만 보고 판단하는 시대가 지나고 있다. 어쩌면 수학은 우리 얼굴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려줄지도 모른다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더 취약하다. 다만 독일에 있는 텔레그램 본사를 한국 사법기관이 직접 살펴
볼
수는 없어 국가기관의 사찰을 피할 수 있다.비밀 채팅 정말 안전할까현재 발표된 내용에서 가장 안전한 방식은 서버도 복호키(암호를 푸는 열쇠)를 모르는 ‘비밀의 방(비밀 채팅)’이다. 카카오톡의 발표대로 서버에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