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의 날, 1등급 훈장에 임용규 남수우 이본수 씨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총장은 한국공업화학회와 한국 화학관련학회 연합회 회장직을 지냈으며, 국내 화학분야 학문 발전에 공헌했다. 2등급(혁신장)은 유태환 한국전기연구원 원장 등 5명, 3등급(웅비장)은 박용수 연세대 교수 등 5명, 4등급(도약장)은 이인선 계명대 부총장 등 7명, 5등급(진보장)은 과학기자협회장인 ... ...
- 에너지 해결책 찾아 지구 한바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발전소와 폐기물처리장을, 때로는 묘지와 화장장을 찾아 다녔다. 오로지 에너지 분야의 고수를 찾겠다는 일념으로 시작한 여행은 꼬박 2년이 걸렸고, 그 결과 세상에 둘도 없을 특이한 ‘에너지’ 배낭여행기를 내놨다.둘이 찾은 나라는 16개국이었고 만난 전문가는 200명에 이른다. 이들이 취재한 ... ...
- 입학담당관 전형 46%로 확대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없다. 이를 대신해서 수학·과학 분야 가운데 지원자가 자신의 꿈과 연관지어 관심있는 분야를 선정해 꾸준히 활동한 ‘연구 역량’이 1단계 변별의 핵심 요인이 될 것이다. 자기소개서는 무엇보다 지원자의 ‘꿈’과 관련해 일관성 있게 기술하는 게 좋다. 또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에는 모호한 ... ...
- [수학을 사랑한 스타] 수학 사랑의 종결자 가수 겸 연기자 김정훈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그때부터수학의 매력에 빠졌는데, 제 생각에 과학은 ‘수학’을 이용해 더 다양한 분야를 공부할 수 있게 돕는 학문 같아요. 아마 제가 전체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원동력은 과학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를 뒷받침해주었던 수학 실력 때문이 아닐까요?”사실 그의 뛰어난 수학 실력은 ... ...
- 존 밀너, 2011년 아벨상을 받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인터뷰하기도 했다.밀너는 7차원 공간에 대한 연구로 미분 위상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든 업적을 인정받아 필즈상을 수상했다. 그는 7차원 공간에서 다양체의 성질을 연구했는데, 다른 차원과 달리 7차원에선 미분가능한 구조를 가진 다양한 다양체가 존재한다고 밝혀냈다. 어떤 함수를 ...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대한 수요가 느는 것이죠.김 다행히 1998년 IMF 사태(외환위기)로 추락했던 이공계 분야의 위상이 서서히 회복되고 있습니다. 사실 IMF사태는 ‘돈이 전부’라는 잘못된 가치관을 심어주기도 했습니다. 연구가 좋아 일에 몰두하고 그 결과가 세계 학계에서 인정 받아 학회에 초청돼 발표할 때 느끼는 ... ...
- 스티브 잡스를 꿈꾸십니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열정가였다. 그들은 넘치는 에너지로 야근과 철야를 불사하고 자신의 삶을 그대로 IT분야에 쏟아 부었다. 밤에 먹은 사발면 수만큼 내공을 쌓고, 의자 위에서 지새운 날만큼 성장해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가 됐다. 그러나 그들 대다수는 전문가는 맞지만, 성공한 IT사업가는 아니었다. 전문가 이상의 ... ...
- [Global Math] 만화 속에서 수학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학생과 교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강연과 행사가 줄지어 열린다. 수학 분야에서 최고의 영예라고 하는 필즈상 수상자를 6명이나 배출한 영국의 저력이 어디에서 나오는지를 느낄 수 있다.“내일은 학교 밖에서 수학 수업을 하는 날이에요. 몇 개월 전에 예약한 거니까 잊지 마세요.”영국 ...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1%만 되도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현재는 0.1%도 안 되는 수준이지만 이제 막 시작한 분야이므로 미래는 밝다”고 말했다. 제올라이트 촉매로 나프타 분해“어이쿠!”“촉매가 바닥에 좀 떨어졌네요. 입자 지름이 머리카락 두께 정도 밖에 안 되지만 공 형태라 미끄럽습니다. 조심하세요.”대전 ...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만날 수 있었다. 그는 과학기지 건설에 기술 전문가로 참여하고 있다.“저는 그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과학과 관련한 시설을 설치한다고 해서 영토가 확장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영해에 과학이라는 보편타당성을 갖는 시설을 설치하는 거니까 일본도 막을 권리는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