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효소에 대한 기질농도가 증가해 회로의 순환속도가 빨라지고, 이로 인해 훨씬 더 많은
양
의 NADH2와 FADH2가 전자전달계로 이동해 산소의 소비를 크게 촉진시킨다. ... ...
토네이도가 온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다
양
한 나선을 찾아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예문 달팽이는 나선 모
양
의 집 속에 살아요. 저런! 실수로 그만 선인장 위에 떨어졌어요. “아야!” 얼마나 아플까요? 그런데 선인장이 반갑게 달팽이를 반깁니다. “반갑다! 난 네가 좋아. 너와 나는 닮은 점이 있거든!” “별꼴이야. 뭐가 ... ...
인터월드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됩니다. 보통 1바이트로는 알파벳이나 숫자 하나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한글은 모
양
이 복잡하기 때문에 한 글자를 나타내는 데 2바이트가 필요합니다. 아까 알파벳 하나가 1바이트라고 했으므로 사전에는 알파벳 12조 개가 들어 있다는 뜻입니다. 이 중에서 99%가 단어 설명이고 1%가 단어에 ... ...
알고 보면 둥근 세상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위해 시디나 하드디스크는 정보를 읽을 때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상관 없이 같은
양
의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각속도를 바꾸기도 한다. 안쪽을 읽을 때는 각속도를 높이고, 바깥쪽을 읽을 때는 각속도를 낮춰 일정한 시간에 그리는 호의 길이를 같게 맞추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지도 못했던 곳에도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봤어. 조력발전은 밀물과 썰물이 만드는 바닷물의 높이 차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양
쪽 물 높이가 서로 다르면 자동으로 댐 아래에 있는 터널의 문이 열리고, 이 터널을 통과하는 물이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거지. 높이 차가 클수록 전기도 더 많이 만들 수 있단다.바다의 소리 ▲ “ 딱딱딱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촌, 난지, 뚝섬 등에는 모래톱이 형성될 수 있다. 팔당댐이 있어서 운반되는 모래의
양
에 제한이 있겠지만, 위아래로 여닫게 돼 있는 수문 구조 덕분에 모래가 전혀 흘러들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실제로 최근까지 여의도와 밤섬 등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모래톱이 발견되기도 했다.이현정 ... ...
화성 생명체 살았던 물 흔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자기 무게의 4분의 1만큼 탄산염을 포함한다는 뜻이며 지금까지 발견된 탄산염의
양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연구팀 관계자는 “탄산염은 중성이지만 마그마의 영향으로 이곳의 물은 극산성이었을 가능성이 높다”며 “극산성 환경이더라도 물이 흘렀다면 환경에 적응한 생명체가 살았을 가능성은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물을 주면 어떨까. 그때 준 물은 오히려 식물에게 해가 될 수 있다. 토
양
에 공급된 물은 토
양
의 공극(입자 사이의 틈)을 막아버려서 뿌리의 호흡을 막는다. 뿌리에서의 호흡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광합성에도 막대한 지장을 미친다. 따라서 정오 무렵 식물에게 준 물은 역효과를 준다. 또한 연구결과에 ... ...
지구를 탈출하는 꿈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움직이는 데 드는 에너지보다 커야 한다. 두 식을 나란히 놓고 속력을 구해 보자.
양
변을 물체의 질량으로 나누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곱근을 구하면 속력은 약 11.2km/s가 된다. 즉, 11.2km/s보다 빠르게 쏘면 지구 중력을 벗어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속도를 탈출속도라고 한다.쥘 베른은 ... ...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위성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높이와 속력은 원심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원심력과 중력을
양
변에 놓고 식을 정리해 보자.중력상수와 지구의 질량은 변하지 않는 값이므로 인공위성의 속력의 제곱은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쉽게 이야기하면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