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있었다. 즉 250만~100만 년 전에는 약 4만1000년마다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됐고 그 이후로는 10만 년마다 반복됐다. 원인은 지구 공전궤도 타원 모양의 변화(이심률의 변화), 자전축의 기울기, 그리고 자전축 및 공전궤도의 세차운동 때문이다. 이처럼 최근 수백만 년 동안의 기후는 지구 외적인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넣은 물을 번갈아 투입한다. 그러면 산화막이 녹으면서 방사성코발트가 95%~98% 제거된다. 이후 분사연마․전해연마․화학침수제염․레이저제염 등 복잡한 작업을 거쳐 방사능을 완전히 없애면 파이프라인을 재활용할 수 있다.제염액에서 오염물을 거르는 여과물질도 방사성폐기물이 된다. 원전을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빛이 파동이냐 입자냐를 놓고 오랫동안 갑론을박하고 있었던 상태였거든요. 토마스 영 이후 빛이 파동이라는 쪽으로 기울었다가 다시 저에 의해 입자의 성질이 증명되었으니까요.결국 빛은 입자인 동시에 파동이었던 겁니다. 혹자는 이런 상태를 쉽게 이해하도록 설명할 때 축구를 예로 들곤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3차원 구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복잡한 함수를 뜨개질 모델로 만들었다. 이 모델은 이후 ‘분자의 화학적 성질은 원자들이 어떻게 꼬여서 매듭을 이루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는 켈빈의 ‘볼텍스 이론’과 함께 ‘매듭이론’이라는 수학 이론의 토대가 됐다.아무리 복잡한 3차원 형태도 함수를 ... ...
- 귀여움이 생존전략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셈이에요. 지금으로부터 약 600만 년 전, 인간은 침팬지와의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진 이후 두 발로 걷는 ‘직립보행’과, 두뇌가 점점 커지는 ‘대뇌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화했어요. 직립보행을 하기 위해서 인간의 두 다리는 몸의 중심으로 모아져야 했기 때문에, 다른 영장류와 다르게 골반이 ... ...
- PART 5. 중력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걸 말한다. 초신성이나 감마선 폭발처럼 우주에 거대한 일이 벌어질 때 중력파가 나온다. 이후 수 초~수 일간 감마선과 X-선, 뉴트리노가 쏟아지며 광학적인 후광이 지속된다. 가장 처음에 도달하는 중력파를 관측할 수 있다면 이어지는 전자기파와 뉴트리노 관측도 좀더 정교해질 것이다. 라이고는 ... ...
- [과학뉴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과학동아 l2015년 01호
- 48종의 게놈을 분석해 조류 진화계통도를 작성한 이 컨소시엄을 통해 조류가 공룡 멸종 이후 다양한 종으로 분화하는 ‘빅뱅 진화’를 겪었다는 학설이 확인됐다.그리핀 교수팀은 잉꼬와 금화조에서 다른 새보다 게놈이 빠르게 변했다는 결과도 알아냈다. 이는 명금류(songbird)와 그 친척 종들이 빠른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적다보니 전체 출생성비에 영향을 덜 끼쳤던 것이다. 김 교수는 “만약 앞으로 셋째 이후의 출생성비가 지금의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경기가 회복돼 출산율이 높아지면, 전체 출생성비가 다시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일본 와세다대 행동생태학자인 하세가와 마리코 교수 역시 ...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대중강연을 듣던 한 참가자가 그에게 제안을 한다. “그냥 블랙홀이라고 부릅시다.”그 이후로 우리는 입에 착착 붙는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유용하게 쓰고 있다. 영화 ‘인터스텔라’를 보면서 “어! 저게 슈바르츠실트의 해구나”라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웜홀도 마찬가지다. 원래 이름은 ...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항공기 제작사 노스롭 그루먼, 보잉, 그리고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등은 콩코드 퇴역 이후 지금까지 소닉붐을 줄이는 다양한 디자인을 연구해 왔다.미국의 항공기 제작사인 걸프스트림도 NASA와 함께 소닉붐 저감기술인 ‘콰이어트 스파이크(Quiet Spike)’를 개발했다. 두께가 조금씩 얇아지는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