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의해 분해되면 ‘암모니아’가 생기면서 독특한 냄새가 난다. 아포크린 땀샘은 사춘기 이후에 활동하므로 어린이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입입 안의 세균이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기체인 ‘휘발성 황화합물’ 때문에 냄새가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잇몸의 염증이나 충치로 입 냄새가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특히 전염병이 집단 안에서 퍼지는 모양과 속도를 설명하는 데 안성맞춤이었다. 이후 수학자들은 이 방정식을 기초로 독감, 홍역, 에볼라와 같은 전염병을 이해하기 위한 수리 모델을 세우기 시작했다.1972년 스코틀랜드의 수학자 윌리엄 컬맥과 예방역학자인 앤더슨 맥켄드릭은 로트카-볼테라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나머지 자명한 공리로부터 따르는 다소 어려운 정리로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유클리드 이후로도 많은 수학자가 2000년 동안 노력했다. 하지만 19세기에서야 공리 1, 2, 3, 4를 만족하면서 5번은 성립하지 않는 새로운 기하가 발견되면서 1, 2, 3, 4로부터 순수 논리 전개로 5를 유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8년 숙종 때 발행돼 조선 말기에 현대식 화폐가 나오기 전까지 200여 년 동안 쓰였다.1894년 이후 엽전과 신화폐가 혼용되면서는 동전의 종류와 개수가 더 많아졌다. 그리고 그만큼 단위도 복잡해졌다. 황동 한 푼이 엽전 1문과 같았는데, 여기에 백동화 2전 5푼과 한 량 은화, 닷 량 은화까지 더해졌기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억 살이니까요.나이가 젊다는 건, 그만큼 활발한 곳에서 왔다는 뜻이에요. 처음 만들어진 이후 활동이 멈춘 소행성이 아니라, 수억 년 전까지도 지질 활동이 활발했던 비교적 큰 행성이나 위성에서 우리가 왔다는 거죠. 특히 다른 행성이나 위성은 지구로 운석을 보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들어서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얻게 된다.인류가 핵융합의 원리를 처음 이용한 것은 수소폭탄을 통해서였다. 2차 대전 이후 미국과 러시아는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폭탄보다 더 강력한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핵융합에 막대한 자원을 투자했다. 결국 미국이 텔러-울람 배열(먼저 핵분열을 이용한 핵폭탄을 터뜨린 뒤 그 ...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터를 축소해 작은 규모로 실험하는 소극적인 장치가 아니라는 거다. 오히려 ‘이터 이후’를 준비하는 미래형 실험장치라는 뜻이다. 양 부장은 “케이스타는 처음부터 이터의 운전 영역을 넘어서는 고성능 운전 시나리오 개발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며 “한국형 핵융합로를 건설할 때까지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핵융합이 일어날 확률이 너무 낮아 실용화될 수 없었다.이후 과학자들은 양자역학적 터널링 효과를 통해 핵융합 반응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 즉 고온의 플라스마 상태로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가둬서 원자핵끼리 서로 만날 기회를 높이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이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긴 역사에서 보면 소중한 경험인 셈이다. 그렇게 실패를 거듭하던 화성탐사도 2000년 이후에는 12번의 시도 중 9번이나 성공했다. 이제 인류는 혜성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지평을 넓혔다. 머지않아 ‘제2의 로제타’가 나올 것이다. 늘 그랬듯이, 우린 답을 찾을 것이므로. ▼관련기사를 계속 ...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앞에 얇은 종이를 가져다 대면 심하게 뒤틀리는 모습과 비슷하다. 타코마대교 붕괴 이후 다리는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한다.사건 당일 이순신대교 주변의 풍속은 선풍기 강풍에 해당하는 초속 8m에 불과했다. 초속 80m가 넘는 바람에도 견디도록 만들어진 이순신대교 입장에선 입김에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